|
① 기허이명(氣虛耳鳴) |
![](http://www.soricheong.com/images/check_01_02_01.gif) |
평소 체력이 약하고 원기가 부족한 사람에서 많이 발견됩니다. 영양섭취가 고르지 못하고 늘 허약체질인 상태에서 어느 날 과도한 소음이나 큰소리에 노출된 경우와 끊임없이 머리를 써야 하는 수험생을 비롯하여 진급시험, 각종 공무원 시험, 자격증 시험 및 고시공부 등으로 불규칙한 식사생활과 충분한 수면을 못 취하고 휴식없이 에너지를 써야 하는 사람에게서 나타납니다. 그 외에도 군대에서나 예비군 훈련장에서 사격훈련 후, 군대에서 포병에 근무한 사람이나 |
![](http://www.soricheong.com/images/ill_02.gif) |
대포사수, 그리고 행정직에 근무한 사람, 발명가, 장시간 컴퓨터를 보고 있는 사람, 디자이너, 증권사 근무자,힘에 부치도록 과도한 운동을 하는 사람, 오랜 감기 뒤, 유흥업소 및 야간 사업을 하는 사람, 트럭 운전사, 격무에 지친 사람, 오랜 투병, 유산을 많이 한 사람, 항암치료 받은 사람, 은행 근무자, 몸에 수술을 많이 한 사람, 대수술 뒤끝, 산후조리 불량자, 불균형 식사 습관자, 찜질방 사우나 등에서 무리하게 땀을 뺀 사람 등에서도 나타납니다. |
② 심화이명(心火耳鳴) |
![](http://www.soricheong.com/images/ill_03.gif) |
마음에 깊은 근심 걱정으로 오랜 기간 노심초사하여 가슴을 졸이거나, 갑작스런 정신적인 충격, 중요 업무나 직책으로 인해 심리적 압박 요소가 생긴 사람, 가까운 사람의 사망, 실연, 이별 등으로 깊은 슬픔을 겪었거나, 도둑이나 강도를 만나거나 해서 갑자기 크게 놀라 가슴이 철렁하고 내려앉은 경우, 소송문제나 금전적 손실로 속을 많이 썩고 있는 사람에게서 볼 수 있습니다.
|
③ 위허이명(胃虛耳鳴)
![](http://www.soricheong.com/images/check_01_02_02.gif) |
만성적인 소화기 질환을 앓고 있거나(만성위염, 위무력증, 위확장증, 위궤양) 평소 식생활이 불규칙하거나 폭식, 폭음, 냉한 음식을 지나치게 즐겨 먹거나 다이어트를 하기 위해 무리한 경우, 체질적으로 소화기 계통을 약하게 타고난 사람에게서 볼 수 있습니다. | |
![](http://www.soricheong.com/images/ill_04.gif) |
④ 신허이명(腎虛耳鳴)
![](http://www.soricheong.com/images/check_01_02_03.gif) |
평소에 신장질환을 앓았거나, 현재 앓고 있는 분, 만성고혈압 환자, 신장에 특별한 질병이 없다하더라도 신장기능이 허약해서 만성요통을 앓고 있거나, 무릎관절통이 자주 오는 사람, 하체가 힘이 없고, 아침에 항상 몸이 무겁고, 자주 붓는 사람, 모발이 많이 빠지는 사람, 지나친 성생활자, 전립선염, 방광염을 앓고 있는 사람 등에게서 볼 수 있습니다. | |
![](http://www.soricheong.com/images/ill_05.gif) |
⑤ 담화이명(痰火耳鳴) |
![](http://www.soricheong.com/images/ill_06.gif) |
자율신경기능이 항진된 사람에게서 많이 나타납니다. 평소 일에 대한 완벽주의자, 지나치게 성격이 꼼꼼하고 예민한 경우, 지나친 건강염려증 환자, 조그만 일에도 과민반응을 잘 일으켜 신경이 날카롭고 조그만 실수도 자신을 용납하지 않는 성격이거나, 남의 걱정이나 실수도 잘 받아들이지 못하는 사람에게서 많이 볼 수 있으며, 성격적인 탓으로 오는 경우가 몹시 많습니다. 나아가 자신이 처해 있는 주위 환경이 늘 자신을 긴장시키거나 스트레스를 주는 요소가 자주 발생하여 힘들어 하는 사람에게서 많이 나타납니다.
|
⑥ 풍열이명(風熱耳鳴)
![](http://www.soricheong.com/images/check_01_02_04.gif) |
풍열(風熱)은 간담(肝膽)에서 비롯되는 것이기에 내장기능에서 빚어지는 것은 주로 마음속에 깊이 쌓여 있는 욕구불만, 억압된 감정, 공포나 두려움을 갖고 오래 생활해 온 사람, 주위 환경이 자신을 억울하게 하는 일이 지속적으로 생기는 환경에 처한 사람(고부간의 갈등, 시누 올케 간의 문제, 부부간의 문제, 부모 자식의 관계, 친구 친척 간의 복잡한 감정관계), 지나친 분노로 속을 부글부글 끓는 사람, 성생활 불만자 등에서 1차적으로 많이 볼 수 있으며 만성 중이염 등 | |
![](http://www.soricheong.com/images/ill_07.gif) |
을 앓았거나 기타 귀질환(고막손상 및 중이수술)이 있는 경우에도 볼 수 있습니다. 성격적으로 우울증이 있거나 너무 심약하고 겁이 많거나, 건강을 자만하는 사람 등에서도 나타납니다. 또한 평소에 조그만 일에도 쉽게 흥분하고, 화를 참지 못하고 남을 용서할 줄 모르고, 충동적이고 다혈질인 사람에게 많습니다. |
⑦ 중독성 이명(中毒性耳鳴) |
![](http://www.soricheong.com/images/ill_08.gif) |
인체 중독은 주로 약물과 환경고해, 음식공해에서 옵니다. 약물공해로서는 신경정신과 약물의 장기복용, 갑상선 질환이나 결핵, 항생제 남용, 감기약의 잘못 복용, 약물의 부작용 등에서 많으며 농약, 중금속이 많이 오염된 음식을 섭취(지나친 육류 섭취자 특히, 회를 지나치게 즐겨먹거나 물고기 종류를 너무 많이 먹는 사람)하는 사람에게서 볼 수 있습니다. 나아가 환경적, 직업적으로 중금속오염에 쉽게 노출되어 있는 건축사나 아파트 공사근무자, 시멘트 공장, 주물공장, 조선소, 제철업소, 광산, 자동차 도색 공장, 정비업체, 핸들 조립, 페인트업, 금은방, 세탁소, 이발소, 미용원, 염색약을 자주 사용하는 사람, 농약 취급자 등에서 많이 발견됩니다.
|
⑧ 외상성 이명(外傷性耳鳴) 교통사고 후유증, 높은 곳에서 떨어지거나, 넘어져 머리를 다친 경우, 단단한 물체(나무나 쇠, 주먹, 손바닥)등으로 귀 주위를 심하게 맞았을 경우, 치과 치료후, 뇌수술 이후에 발생합니다. 이것은 귀가 붙어 있는 주위 근육(측두근, 익돌근, 교근)의 과도한 긴장과 상호 밸런스 차이에서 빚어지는 턱관절 장애에서 빚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심한 정신적 긴장 및 육체적인 과로, 수면부족 등으로 근육(흉쇄유돌근이나 승모근, 판상근)의 과도한 긴장 또는 피로 누적에 의한 경직도 이명을 유발합니다. 마사지를 받고나서 이유없이 발생되어 오는 환자도 있습니다.
|
![](http://www.soricheong.com/images/ill_09.gif) | |
|
![이명의 서양 의학적 원인분석](http://www.soricheong.com/images/check_title_01_0202.gif) |
ㄱ. 청각정 이명 |
① 돌발성 난청 ② 노인성 이명 ③ 소음성 이명 ④ 메니에르병 ⑤ 중이염 ⑥ 교통사고나 타박상으로 인한 외상성 ⑦ 약물중독 ⑧ 신경종양 | |
ㄴ. 비 청각성 이명 |
① 고혈압 ② 동맥경화 ③ 심장질환 ④ 혈관기형 ⑤ 혈관성 종양 ⑥ 빈혈 ⑦ 갑상성 질환 ⑧ 당뇨병 ⑨ 턱관절 장애 ⑩ 경추의 이상 | | | | |
|
![이명의 소리형태에 따른 임상적 원인분석](http://www.soricheong.com/images/check_title_01_0103.gif) |
【발병원인】 ① 성인병......................................................... ② 중년............................................................ ③ 과로............................................................ ④ 뇌졸중......................................................... ⑤ 중이염......................................................... ⑥ 스트레스...................................................... ⑦ 돌발성난청................................................... ⑧ 사무기기증후군............................................. ⑨ 뇌경색.........................................................
|
【소리형태】 ..기적(보~ ) ..벌레소리(지~ 지~) ..종소리(강~ ) ..세탁기(구와, 구왕~ ) ..매미우는소리(민~ 민~ ) ..금속소리(깅~ ) ..파도소리(싸~ ) ..바람소리(휴~ 휴~ ) ..제트소리(고~ )
| | | |
|
![이명에 수반되는 증상](http://www.soricheong.com/images/check_title_01_0105.gif) |
이명에 수반되는 증상으로는 매우 다양하나 임상적 통계에 의한 수반증상의 빈도로 분석해 보면 |
① 난청 ② 어지럼증 ③ 두통 ④ 위장장애 ⑤ 관절통 ⑥ 귀막힘(폐쇄감)
|
⑦ 구토 ⑧ 오심 ⑨ 불면증 ⑩ 항강증(뒷목아픔) ⑪ 불안함 ⑫ 우울증 |
⑬ 신경쇠약, 노이로제 등의 순서로 나타났습니다. | | | | |
![](http://www.soricheong.com/images/a.gif)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