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인건강/노인건강

★ 귀울림,이명의 모든것

해피곰 2009. 9. 9. 17:55

http://cafe.daum.net/011-592-2497/GN8L/5205

 

이명의 정의 이명의 원인 이명의 진단 이명의 치료방법 이명의 예방법
이명이란 무엇인가?
외부에서 소리자극이 없는데도 소리를 느끼는 정신분열증의 환청과는 달리 귀에서 뇌까지 소리 전달 과정 중 어느 부분에 이상이 생겨 환자에게 실제로 소리가 간헐적 또는 연속적으로 들리는 것을 말합니다.
 
이명환자가 흔히 듣는 소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 이명환자가 흔히 듣는 소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밑줄친 소리를 클릭하시면 해당소리를 들으실 수 있습니다.)
① 세탁기 소리 ② 여치소리 ③ 매미소리종소리기차소리금속소리파도소리 ⑧ 맥박뛰는 소리 ⑨ 바람소리북소리제트기 소리 ⑫ 세탁소 증기 다리미 소리 ⑬ 폭포 소리시계초침 바늘 소리비소리, 개미싸우는 소리, 형광등 소리 이외에도 다양한 소리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 소리에 따른 원인을 분석해보면
① 기차소리는 성인병이 있는 분에게서 많이 볼 수 있고
② 중년에 많이 오는 소리는 풀벌레 소리
③ 몹시 과로 했을때 나는 종소리
④ 뇌혈관성 질환이 있을때는 세탁기 돌아가는 소리
⑤ 중이 질환이 있을때 매미우는 소리
⑥ 스트레스성이 강할때는 금속소리
⑦ 사무실 근로자 들에게 많은 바람소리 등이 통계적으로 원인에 따른 이명의 다양한 소리 등이 있습니다.
 
이명의 소리형태에 따른 임상적 원인분석
 
이명에 대한 잘못된 상식
1) 이명이 다른 듣는 것을 방해하나요?
이명이 집중력을 방해할 수 있어도 반드시 듣는 것을 방해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청력이 손실되면 이명이 나빠지거나 상황에 따라서 더욱 악화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조기에 치료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이명이 발생함과 동시에 청각에도 장애가 생기나요?
청력의 손실이 이명을 나쁘게 할 수 있고, 이명이 심한 환자는 대개 고음역에서의 난청이 있으므로 반드시 이명이 청력장애를 일으키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오랜 시간 방치했을 경우 난청으로 인한 청각장애가 올 수 있으므로 빠른 시간 내에 치료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3) 이명치료에 청신경을 절제하면 금방 치료가 되나요?
이명의 발병원인은 다양하므로 이명이 발생했다고 하여 반드시 청신경을 제거하지는 않습니다. 청신경을 절제하면 청력이 완전히 소멸되고 오히려 장애를 일으킬 뿐만 아니라 이명이 악화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이명치료를 위해 반드시 청신경을 제거하진 않습니다. 이명 발명원인에 따른 치료가 중요합니다.

 

이명의 한의학적 분석
① 기허이명(氣虛耳鳴)
평소 체력이 약하고 원기가 부족한 사람에서 많이 발견됩니다. 영양섭취가 고르지 못하고 늘 허약체질인 상태에서 어느 날 과도한 소음이나 큰소리에 노출된 경우와 끊임없이 머리를 써야 하는 수험생을 비롯하여 진급시험, 각종 공무원 시험, 자격증 시험 및 고시공부 등으로 불규칙한 식사생활과 충분한 수면을 못 취하고 휴식없이 에너지를 써야 하는 사람에게서 나타납니다. 그 외에도 군대에서나 예비군 훈련장에서 사격훈련 후, 군대에서 포병에 근무한 사람이나
대포사수, 그리고 행정직에 근무한 사람, 발명가, 장시간 컴퓨터를 보고 있는 사람, 디자이너, 증권사 근무자,힘에 부치도록 과도한 운동을 하는 사람, 오랜 감기 뒤, 유흥업소 및 야간 사업을 하는 사람, 트럭 운전사, 격무에 지친 사람, 오랜 투병, 유산을 많이 한 사람, 항암치료 받은 사람, 은행 근무자, 몸에 수술을 많이 한 사람, 대수술 뒤끝, 산후조리 불량자, 불균형 식사 습관자, 찜질방 사우나 등에서 무리하게 땀을 뺀 사람 등에서도 나타납니다.

② 심화이명(心火耳鳴)
마음에 깊은 근심 걱정으로 오랜 기간 노심초사하여 가슴을 졸이거나, 갑작스런 정신적인 충격, 중요 업무나 직책으로 인해 심리적 압박 요소가 생긴 사람, 가까운 사람의 사망, 실연, 이별 등으로 깊은 슬픔을 겪었거나, 도둑이나 강도를 만나거나 해서 갑자기 크게 놀라 가슴이 철렁하고 내려앉은 경우, 소송문제나 금전적 손실로 속을 많이 썩고 있는 사람에게서 볼 수 있습니다.
 
③ 위허이명(胃虛耳鳴)
만성적인 소화기 질환을 앓고 있거나(만성위염, 위무력증, 위확장증, 위궤양) 평소 식생활이 불규칙하거나 폭식, 폭음, 냉한 음식을 지나치게 즐겨 먹거나 다이어트를 하기 위해 무리한 경우, 체질적으로 소화기 계통을 약하게 타고난 사람에게서 볼 수 있습니다.

④ 신허이명(腎虛耳鳴)
평소에 신장질환을 앓았거나, 현재 앓고 있는 분, 만성고혈압 환자, 신장에 특별한 질병이 없다하더라도 신장기능이 허약해서 만성요통을 앓고 있거나, 무릎관절통이 자주 오는 사람, 하체가 힘이 없고, 아침에 항상 몸이 무겁고, 자주 붓는 사람, 모발이 많이 빠지는 사람, 지나친 성생활자, 전립선염, 방광염을 앓고 있는 사람 등에게서 볼 수 있습니다.

⑤ 담화이명(痰火耳鳴)
자율신경기능이 항진된 사람에게서 많이 나타납니다. 평소 일에 대한 완벽주의자, 지나치게 성격이 꼼꼼하고 예민한 경우, 지나친 건강염려증 환자, 조그만 일에도 과민반응을 잘 일으켜 신경이 날카롭고 조그만 실수도 자신을 용납하지 않는 성격이거나, 남의 걱정이나 실수도 잘 받아들이지 못하는 사람에게서 많이 볼 수 있으며, 성격적인 탓으로 오는 경우가 몹시 많습니다. 나아가 자신이 처해 있는 주위 환경이 늘 자신을 긴장시키거나 스트레스를 주는 요소가 자주 발생하여 힘들어 하는 사람에게서 많이 나타납니다.

⑥ 풍열이명(風熱耳鳴)
풍열(風熱)은 간담(肝膽)에서 비롯되는 것이기에 내장기능에서 빚어지는 것은 주로 마음속에 깊이 쌓여 있는 욕구불만, 억압된 감정, 공포나 두려움을 갖고 오래 생활해 온 사람, 주위 환경이 자신을 억울하게 하는 일이 지속적으로 생기는 환경에 처한 사람(고부간의 갈등, 시누 올케 간의 문제, 부부간의 문제, 부모 자식의 관계, 친구 친척 간의 복잡한 감정관계), 지나친 분노로 속을 부글부글 끓는 사람, 성생활 불만자 등에서 1차적으로 많이 볼 수 있으며 만성 중이염 등

을 앓았거나 기타 귀질환(고막손상 및 중이수술)이 있는 경우에도 볼 수 있습니다. 성격적으로 우울증이 있거나 너무 심약하고 겁이 많거나, 건강을 자만하는 사람 등에서도 나타납니다. 또한 평소에 조그만 일에도 쉽게 흥분하고, 화를 참지 못하고 남을 용서할 줄 모르고, 충동적이고 다혈질인 사람에게 많습니다.

⑦ 중독성 이명(中毒性耳鳴)
인체 중독은 주로 약물과 환경고해, 음식공해에서 옵니다. 약물공해로서는 신경정신과 약물의 장기복용, 갑상선 질환이나 결핵, 항생제 남용, 감기약의 잘못 복용, 약물의 부작용 등에서 많으며 농약, 중금속이 많이 오염된 음식을 섭취(지나친 육류 섭취자 특히, 회를 지나치게 즐겨먹거나 물고기 종류를 너무 많이 먹는 사람)하는 사람에게서 볼 수 있습니다. 나아가 환경적, 직업적으로 중금속오염에 쉽게 노출되어 있는 건축사나 아파트 공사근무자, 시멘트 공장, 주물공장, 조선소, 제철업소, 광산, 자동차 도색 공장, 정비업체, 핸들 조립, 페인트업, 금은방, 세탁소, 이발소, 미용원, 염색약을 자주 사용하는 사람, 농약 취급자 등에서 많이 발견됩니다.

⑧ 외상성 이명(外傷性耳鳴)
교통사고 후유증, 높은 곳에서 떨어지거나, 넘어져 머리를 다친 경우, 단단한 물체(나무나 쇠, 주먹, 손바닥)등으로 귀 주위를 심하게 맞았을 경우, 치과 치료후, 뇌수술 이후에 발생합니다. 이것은 귀가 붙어 있는 주위 근육(측두근, 익돌근, 교근)의 과도한 긴장과 상호 밸런스 차이에서 빚어지는 턱관절 장애에서 빚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심한 정신적 긴장 및 육체적인 과로, 수면부족 등으로 근육(흉쇄유돌근이나 승모근, 판상근)의 과도한 긴장 또는 피로 누적에 의한 경직도 이명을 유발합니다. 마사지를 받고나서 이유없이 발생되어 오는 환자도 있습니다.
 
이명의 서양 의학적 원인분석
청각기관의 손상을 일으키는 원인
ㄱ. 청각정 이명
① 돌발성 난청
② 노인성 이명
③ 소음성 이명
④ 메니에르병
⑤ 중이염
⑥ 교통사고나 타박상으로 인한 외상성
⑦ 약물중독
⑧ 신경종양
ㄴ. 비 청각성 이명
① 고혈압
② 동맥경화
③ 심장질환
④ 혈관기형
⑤ 혈관성 종양
⑥ 빈혈
⑦ 갑상성 질환
⑧ 당뇨병
⑨ 턱관절 장애
⑩ 경추의 이상
 
이명의 소리형태에 따른 임상적 원인분석
발병원인과 소리형태(임상적)
 【발병원인】
① 성인병.........................................................
② 중년............................................................
③ 과로............................................................
④ 뇌졸중.........................................................
⑤ 중이염.........................................................
⑥ 스트레스......................................................
⑦ 돌발성난청...................................................
⑧ 사무기기증후군.............................................
⑨ 뇌경색.........................................................
【소리형태】
..기적(보~ )
..벌레소리(지~ 지~)
..종소리(강~ )
..세탁기(구와, 구왕~ )
..매미우는소리(민~ 민~ )
..금속소리(깅~ )
..파도소리(싸~ )
..바람소리(휴~ 휴~ )
..제트소리(고~ )
 
이명에 수반되는 증상
이명에 수반되는 증상으로는 매우 다양하나 임상적 통계에 의한 수반증상의 빈도로 분석해 보면
① 난청
② 어지럼증
③ 두통
④ 위장장애
⑤ 관절통
⑥ 귀막힘(폐쇄감)
⑦ 구토
⑧ 오심
⑨ 불면증
⑩ 항강증(뒷목아픔)
⑪ 불안함
⑫ 우울증
⑬ 신경쇠약, 노이로제
등의 순서로 나타났습니다.
소리청 한의원의 이명치료 시스템
※ 이명(귀울림)을 고치기 위해서는 이런 노력이!
이명은 인체의 정기(精氣)와의 싸움이다. 체력이 떨어지면 언제든지 발생 할 수 있다. 충분한 수면, 규칙적이고 균형적인 식생활이 매우 중요하다.
이명은 발생 후 가장 빠른 시간 내에 치료를 서두르자. 시간이 경과할수록 어려워진다.
과음, 과색은 이명발생의 주범이다. 삼가하지 않으면 후회한다.
(걸리기는 쉽지만 회복은 어렵다)
소음에 노출되는 시간이 많을수록 이명은 쉽게 온다. 소음이 심한 곳은 의식적으로 피하자.
(특히, 음주, 과로 후)
귀속 점막을 피로하게 하면 안 된다. MP3, 이어폰, 헤드폰 사용은 피할수록 좋다.
지나친 근심, 걱정, 번뇌, 분노, 외고집, 철두철미형 성격은 이명이 걸리기 쉽다. 세상을 둥글게 보자.
무분별하고 과다한 양약의 복용은 이명을 유발할 수 있다. 항생제 남용은 절대 피하자.
(특히, 감기약 조심)
교통사고, 산재사고로 얼굴이나 머리 타박상을 입은 사람은 반드시 한방치료를 통해 어혈을 풀어놓자.
(훗날 이명을 유발함)
자신의 귓바퀴를 만져보아 종이처럼 얇은 사람은 절대 소음이 있는 곳을 피해야 한다.
(선천적으로 발병 가능성이 매우 높다)
맵고 짠 음식과 인스턴트 식품의 과다 섭취는 혈관을 긴장시키고 인체의 영향균형을 파괴하므로 삼가자.
중금속의 과다 오염은 이명환자에게는 치명적이다. 생활환경개선과 식생활에 만전을 기하자.
(한번 오염된 중금속은 배출이 어렵다)
이명은 형체가 없는 병이다. 따라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이명에 대한 정확한 분석을 한 다음, 보다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자세로 치료에 임하고 스스로 극복해 내겠다는 강한 의지를 가지자.
(환자본인의 노력 없이는 치료가 어려운 병이다)


1) 한약

한약
이명은 발생 원인이 매우 복잡 다양하기 때문에 그 원인에 따라서 해당하는 약물을 사용하되 원인에 따른 기본처방에 환자의 증상별 가감처방을 잘 응용해야 합니다.

소리청 이명환 소리청이명환  

소리청 이명환은 이명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특별 조제하여 만든 환약입니다. 소리청 이명환을 처방 받으시면 복용법과 참고사항을 참고하여 복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 침(鍼)

침
이명환자에게 사용하는 침법은 주로 사암침법을 사용하는데 허증(虛證)과 실증(實證)으로 구분하여 응용합니다. 귀로 달리는 경락은 담(膽)경락과 삼초(三焦)경락이 바탕이기 때문에 침을 시술할 때는 이 두 경락을 위주로 해서 간담(肝膽), 심소장(心小腸), 신방광(腎膀胱) 삼초폐(三焦肺) 8개 경락을 이용하며 한열허실(寒熱虛實)에 따라 각각 다른 침법을 응용합니다.


3) 약침요법

약침요법
이명, 난청, 어지러움에 사용하는 약침요법은 주로 우황, 웅담, 사향 같은 귀한 약재를 이용합니다.


4) 레인보우요법

레인보우요법
이 치료법은 일본에서 개발, 2002년도부터 우리나라에도 보급되어 이명, 난청, 어지러움에 획기적인 치료 효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명의 발병원인을 간(肝), 심(心), 신(腎) 3개의 장부가 관여되는 것으로 구분한 다음 허실을 구분하여 각기 해당 경혈에 자극을 주어 치료합니다.


5) 자기조절요법

자기조절요법
이 치료법은 자석을 이용해 이명, 난청, 어지러움 환자의 오운육기(五運六氣) 체질을 분석해서 좌측 이명은 우측 손과 발의 경혈에서 자석을 각기 병인(病因)에 해당되는 부위에 붙여 시술합니다. 체질적으로 이명이 발생되는 원인을 허실(虛實)을 나누어 놓은 다음 ①간실(肝實) ②신실(腎實) ③신허(腎虛) ④심허(心虛) ⑤심실(心實) ⑥위허(胃虛)의 순서대로 원인을 구분한 다음 경혈에 보법(補法)과 사법(瀉法)을 적절히 응용하고 더불어 복부와 배부(背部)의 중요 경혈에 자석을 붙여두어 인체 자기력 결핍으로 발생된다고 보는 환자에게 이 치료법을 시술합니다.


6) 첩대(테이핑)요법

첩대(테이핑)요법
이 치료법은 이명에 많은 영향을 끼치는 흉쇄유돌근, 측두근, 익돌근, 승모근, 판상근 등의 근육이완 및 균형을 조절할 목적으로 비탄력 3×4 격자무늬의 테이프를 해당 근육에 부착합니다.

이명은 첫째, 퇴행성 질환에 속하며 나이가 들어가면서 서서히 찾아오는 노인성 질환 즉, 에너지 저하에서 발병한다고 볼 수 있으며, 둘째는 전신성 질환으로 나이와 성별에 상관없이 모든 연령에 걸쳐 나타날 수 있습니다.
현재까지 이명의 원인분석 방법은 한의학적, 서양의학적 분류방식이 모두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확한 원인분석 접근방식이 어렵고 또한 치료율도 크게 높지 않은 질환입니다.
소리청 한의원이 제시하는 이명의 원인 분석 방법
지금까지 12년 동안 이명을 임상하는 가운데 찾아낸 이명의 원인 분석법입니다.
1) 구조적 접근
① 턱관절 장애
② 경추 C1, C2의 틀어짐
③ 척추의 자세 변형(척추 측만증, 전만증, 후만증)
④ 발목뼈의 형태변형(까치발, 평발, 내반, 외반)

2) 에너지대사 분석법
이것은 체열진단기(IRCT)를 통해 체내온도 촬영으로 이명 환자들의 검사 내용을 보면
기허(氣虛)→담화(痰火)→심허(心虛)→신허(腎虛)→간풍열(肝風熱)→위허(胃虛) 등의 6가지로 원인을 분석합니다.

3) 오염 분석
이것은 모발검사를 통해 평소 환자분이 생활하는 가운데 직업이나 음식 섭취 등으로 인해 중금속이 얼마나 체내에 축적되어 있는가를 확인합니다. 이명과 난청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중금속 원소는 수은, 납, 알루미늄, 바륨 등 4원소이며 중금속에 노출된 직업은 조선소 근무, 페인트 가게, 염색공장, 주물공장, 자동차 정비업, 도선사, 화학공장, 핸드폰 조립업체, 금은방, 이· 미용실, 인쇄소, 방직공장, 중장비업체처럼 생활 속에서 쉽게 중금속 오염환경에 노출되어 있는 분에게 많이 발견되며 특별한 직업과 상관없이도 중금속이 검출되는 것은 식생활 오염에서 오는 경우도 많음을 알 수 있습니다.

4) 환경공해 분석
환경공해에서 가장 으뜸을 차지하는 것은 소음입니다. 그동안의 임상 결과 다음의 직업군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이명 환자들이 발견되었습니다.
① 수험생(mp3 사용자) ② 노래방 근무자 ③ 지하철 근무자 ④ 나이트클럽 근무자 ⑤ 건설현장 근무자 ⑥ 통신사업 근무자(전화국교환) ⑦ 사격선수 ⑧ 전철 및 기차 고속철 주위 생활자 ⑨ 음향기기 취급자 ⑩ 도로건설 노무자 및 광산 근무자 ⑪ 방직공장 및 제철소 근무자 ⑫ 항공업 근무자 및 주위생활자 ⑬ 포병대 근무자

 
소리청 한의원의 이명진단 시스템
1) 체열진단기
체열진단기
적외선 진단장치로 인체의 여러 진단 포인트를 촬영하여 그 온도의 편차를 살펴서 이명의 발생원인을 오운육기(五運六氣)의 에너지로 파악하는 진단법입니다. 진단을 하는 지점인 얼굴(痰火耳鳴), 흉부(心虛耳鳴), 상복부(胃虛耳鳴), 하복부 및 요배부(腎虛耳鳴), 좌우 상지 및 우흉부(氣虛耳鳴), 좌우 흉쇄유돌근 주위(風熱耳鳴), 귀를 둘러싸고 있는 측두근 주위(外傷性耳鳴) 등의 7군데를 관찰하여 발생 원인의 경중을 구분합니다.
임상적으로는 정상인과 체열(體熱)인을 비교 관찰 했을 때 정상인보다 얼마나 한열(寒熱)의 편차가 심한가를 놓고서 질병의 경중을 파악합니다. 이는 모든 이명 환자의 필수 진단 장비로서 이명의 내적 원인 분석과 치료 예후에 대해서 평가를 내릴 수 있는 진단법입니다.
체열진단기 예


2) 맥진기
맥진기
이 진단기는 한의사의 가장 중요한 진단행위인 진맥행위를 자동진단기계로 환자의 오장육부(五臟六腑)의 한열허실(寒熱虛實)을 파형으로 객관성 있게 정확하게 그려 냅니다. 한의학에서 바라보는 질병의 원인 중 외인(풍(風), 한(寒), 서(署), 습(濕), 열(熱), 화(火))과 내인(칠정(七情), 희노우사(喜怒憂思), 비공경(悲恐驚)을 동시에 관찰함으로써 이명이 발생하게 되는 체내질병 환경분석과,환자의 심리상태를 정확히 읽어냄으로서 이명의 원인에 대해서 육체적 정신적인 분석을 할 수 있습니다.
맥파형은 12가지 부위 간(肝), 심(心), 신(腎), 비(脾), 폐(肺), 담(膽), 심포(心包), 위(胃), 십이지장(十二指腸), 소장(小腸), 대장(大腸), 자궁(子宮), 척추(脊椎) 부위를 좌우측의 진맥 지점에서 정확히 진단합니다.
질병의 경중과 중간에 진행되는 모습, 치료의 종결선언 등을 재현성 있게 객관적으로 정확하게 그 정보를 읽어 낼 수 있는 필수장비입니다.
맥진기 예


3) 모발 중금속 검사
모발 중금속 검사
이명환자의 대부분이 중금속 오염과 필수 미네랄의 불균형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모발 중금속 전문 분석기관에 환자의 모발 분석을 검사 의뢰해서 그 결과를 놓고 치료의 예후를 가늠합니다.
실제 그동안 약 3년간의 이명 환자들의 모발 분석 검사자료를 보면 대부분의 중증 이명 환자 중 남자는 50% 이상이 중금속 오염과 관련되어 있어 중금속 검사는 이명환자 치료의 예후 관찰에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남녀 할 것 없이 수은이나 납의 검출이 정상범위의 4배 이상 나오는 경우는 거의 예후가 불량하며 최소한 3배 이하에 머물러야 치료에 임할 수 있으며 중금속이 정상범위 이내에 있는 사람은 예후가 대체적으로 양호합니다. 여자의 경우에는 알루미늄이 남자에 비해 많이 검출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4) 오운육기(五運六氣)

이것은 이명환자들의 체질적인 원인을 분석하여 일반인들에 비해서 왜 유독 본인만이 이명에 걸리게 되는지를 선천적인 요인에서 찾는 한의학의 체질이론입니다. 흔히, 우리가 알고 있는 사상의학에서 보는 4가지 체질이 있는 것처럼 사람이 태어난 후천출생운기(後天出生運氣)와 사람이 생명을 찾게 되는 선천입태(先天入胎)를 조사해서 자기의 건강을 형성하는 운명적, 선천적 요인을 알아보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태어날 때부터 간이 약하다. 심장이 나쁘다. 장이 나쁘다. 아니면 호흡기가 부모님이 나빠서 자신도 물려받았다는 등 이러한 것들을 정확하게 알 수가 있습니다. 나아가 사람의 성격도 태어나면서부터 급하다, 느리다, 꼼꼼하다, 태평하다, 소심하다 등으로 분류할 수 있는 것처럼 개인 개인의 태어난 성정(性情)을 통해서 개인의 체질분석을 치료에 참고하는 것입니다.
임상적으로 이명이 잘 걸리는 체질적 요인은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는데 오차가 거의 없습니다.

간실(肝實) → 신실(腎實) → 심실(心實) → 신허(腎虛) → 심허(心虛) → 위허(胃虛)

이와 같은 순서로 이명발생 빈도가 높습니다.


5) 모아레 등고선 촬영기
모아레 등고선 촬영기
인체의 자세를 이해하고 잘못된 부분을 바르게 교정하여 건강을 유지하는 목적으로 근육의 불균형을 확인하기 위해서 진단에 응용합니다. 이명의 발생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인체의 근육은 목의 좌우에 있는 흉쇄유돌근이며 이어서 좌우 어깨 상부에 있는 승모근과 목뒤에 있는 판상근의 과도한 긴장과 근육경련입니다. 인체의 뼈대를 둘러싸고 있는 것은 대부분 근육이며 근육에는 혈관과 신경이 분포되어 인체의 모든 대사와 운동기능, 감각기능을 담당하는데 근육의 만성피로와 스트레스로 인한 과도한 긴장에서 오는 자세불량 등으로 빚어지는 근육의 언밸런스는 혈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이유가 됩니다. 많은 이명 환자들은 다른 사람들에 비해서 이러한 3개 근육과 언밸런스 및 목뼈의 위치변화 등이 공통적으로 많이 발견됩니다.


6) 족문검사
족문검사
이명 환자들의 자세불량을 확인하기 위해 간단히 좌우 발바닥의 형태를 확인합니다. 족부는 인체의 중력이 가장 크게 작용하는 부위이며, 발바닥을 찍어 보고서 심한 무좀, 발바닥 굳은살, 티눈 등을 확인합니다.

소리청 한의원의 이명치료 시스템
※ 이명(귀울림)을 고치기 위해서는 이런 노력이!
이명은 인체의 정기(精氣)와의 싸움이다. 체력이 떨어지면 언제든지 발생 할 수 있다. 충분한 수면, 규칙적이고 균형적인 식생활이 매우 중요하다.
이명은 발생 후 가장 빠른 시간 내에 치료를 서두르자. 시간이 경과할수록 어려워진다.
과음, 과색은 이명발생의 주범이다. 삼가하지 않으면 후회한다.
(걸리기는 쉽지만 회복은 어렵다)
소음에 노출되는 시간이 많을수록 이명은 쉽게 온다. 소음이 심한 곳은 의식적으로 피하자.
(특히, 음주, 과로 후)
귀속 점막을 피로하게 하면 안 된다. MP3, 이어폰, 헤드폰 사용은 피할수록 좋다.
지나친 근심, 걱정, 번뇌, 분노, 외고집, 철두철미형 성격은 이명이 걸리기 쉽다. 세상을 둥글게 보자.
무분별하고 과다한 양약의 복용은 이명을 유발할 수 있다. 항생제 남용은 절대 피하자.
(특히, 감기약 조심)
교통사고, 산재사고로 얼굴이나 머리 타박상을 입은 사람은 반드시 한방치료를 통해 어혈을 풀어놓자.
(훗날 이명을 유발함)
자신의 귓바퀴를 만져보아 종이처럼 얇은 사람은 절대 소음이 있는 곳을 피해야 한다.
(선천적으로 발병 가능성이 매우 높다)
맵고 짠 음식과 인스턴트 식품의 과다 섭취는 혈관을 긴장시키고 인체의 영향균형을 파괴하므로 삼가자.
중금속의 과다 오염은 이명환자에게는 치명적이다. 생활환경개선과 식생활에 만전을 기하자.
(한번 오염된 중금속은 배출이 어렵다)
이명은 형체가 없는 병이다. 따라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이명에 대한 정확한 분석을 한 다음, 보다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자세로 치료에 임하고 스스로 극복해 내겠다는 강한 의지를 가지자.
(환자본인의 노력 없이는 치료가 어려운 병이다)


1) 한약

한약
이명은 발생 원인이 매우 복잡 다양하기 때문에 그 원인에 따라서 해당하는 약물을 사용하되 원인에 따른 기본처방에 환자의 증상별 가감처방을 잘 응용해야 합니다.

소리청 이명환 소리청이명환  

소리청 이명환은 이명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특별 조제하여 만든 환약입니다. 소리청 이명환을 처방 받으시면 복용법과 참고사항을 참고하여 복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 침(鍼)

침
이명환자에게 사용하는 침법은 주로 사암침법을 사용하는데 허증(虛證)과 실증(實證)으로 구분하여 응용합니다. 귀로 달리는 경락은 담(膽)경락과 삼초(三焦)경락이 바탕이기 때문에 침을 시술할 때는 이 두 경락을 위주로 해서 간담(肝膽), 심소장(心小腸), 신방광(腎膀胱) 삼초폐(三焦肺) 8개 경락을 이용하며 한열허실(寒熱虛實)에 따라 각각 다른 침법을 응용합니다.


3) 약침요법

약침요법
이명, 난청, 어지러움에 사용하는 약침요법은 주로 우황, 웅담, 사향 같은 귀한 약재를 이용합니다.


4) 레인보우요법

레인보우요법
이 치료법은 일본에서 개발, 2002년도부터 우리나라에도 보급되어 이명, 난청, 어지러움에 획기적인 치료 효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명의 발병원인을 간(肝), 심(心), 신(腎) 3개의 장부가 관여되는 것으로 구분한 다음 허실을 구분하여 각기 해당 경혈에 자극을 주어 치료합니다.


5) 자기조절요법

자기조절요법
이 치료법은 자석을 이용해 이명, 난청, 어지러움 환자의 오운육기(五運六氣) 체질을 분석해서 좌측 이명은 우측 손과 발의 경혈에서 자석을 각기 병인(病因)에 해당되는 부위에 붙여 시술합니다. 체질적으로 이명이 발생되는 원인을 허실(虛實)을 나누어 놓은 다음 ①간실(肝實) ②신실(腎實) ③신허(腎虛) ④심허(心虛) ⑤심실(心實) ⑥위허(胃虛)의 순서대로 원인을 구분한 다음 경혈에 보법(補法)과 사법(瀉法)을 적절히 응용하고 더불어 복부와 배부(背部)의 중요 경혈에 자석을 붙여두어 인체 자기력 결핍으로 발생된다고 보는 환자에게 이 치료법을 시술합니다.


6) 첩대(테이핑)요법

첩대(테이핑)요법
이 치료법은 이명에 많은 영향을 끼치는 흉쇄유돌근, 측두근, 익돌근, 승모근, 판상근 등의 근육이완 및 균형을 조절할 목적으로 비탄력 3×4 격자무늬의 테이프를 해당 근육에 부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