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시민·사회

진보당 원내교섭단체 구성 가능할까?

해피곰 2012. 2. 8. 09:38

진보당 원내교섭단체 구성 가능할까?

정당득표율 20% 목표...수도권 야권연대가 관건

 

 

통합진보당이 5일 일산 킨텍스에서 '총선승리 전진대회'를 열고 총선 체제로 전환했다. 이

자리에서 이정희 통합진보당 공동대표는 "통합진보당은 이명박 정부 심판에 앞장서고, 야권

연대를 흔들림 없이 추진해 새누리당과의 일대일 구도를 형성하겠다"고 밝혔다. 이 대표는

"19대 국회를 여소야대로 만들겠다"면서 "통합진보당은 이번 총선에서 30석 이상의 안정적

인 원내교섭단체를 만들겠다"고 포부를 내비쳤다.

 

진보당의 총선 목표는 이 대표의 공언처럼 ‘안정적’ 원내교섭단체 구성이다. 즉 20석을

3~4석 이상 상회하는 수준인 셈이다. 진보당의 현재 의석수는 조승수 전 진보신당 대표를

합쳐서 7석. 2004년 총선에서 민주노동당이 10석을 얻은 것을 고려하면 원내교섭단체 구성

이 간단한 목표라고 하기는 어렵다.

 

유시민 공동대표가 비례대표 ‘12번’을 거론하는 이유도 비슷하다. 유 대표는 한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총선에서 비례대표 12번 출마를 원한다"면서 "당의 총선 목표를 달성할 경우에

만 제가 국회의원이 될 수 있는 방식으로 비례대표 12번에 배치해주면 좋겠다"고 말했다.

비례대표 12번 당선은 정당투표율 20%를 의미한다.

 

진보당은 지난해 12월 10.3%(리얼미터)를 기록한 이후 끊임없이 하락세를 보여 현재 3~

5%에 머물고 있다. 그러나 유 대표는 "거대 양당을 지지하지 않는 유권자들이 늘 25% 이

상 존재한다"면서 "총선이 가까워지면 지지율이 올라갈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또 진보당은 4·11 총선에 전국 245개 선거구 가운데 180여 곳 정도에서 후보를 낼 예정이

다. 지역구에서 10석 이상을 얻고, 정당투표에서 15% 내외의 지지를 얻으면 교섭단체 구성

이 가능하다.

 

통합진보당 총선 승리대회 

ⓒ양지웅 기자

5일 오후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2012년 통합진보당 총선승리 전진대회'에서 대표

단과 총선 후보들이 '함께 가자 우리 이길을'을 부르고 있다.

 

통합진보당, 수도권에서의 야권연대가 관건

진보당이 지역구 의석을 기대하는 곳은 영남권과 호남권, 수도권에 걸쳐있다.

 

진보당의 영남권 지역구 의원은 권영길(경남 창원을), 강기갑(경남 사천), 조승수(울산 북구)

의원이 있다. 이번 총선에서도 진보당은 영남권에서 7~8석을 기대하고 있다. 울산 북구와

동구, 남구을, 부산의 영도구, 해운대을, 남구, 경남의 창원갑, 창원을, 진주을, 사천, 거제

등이 전략 지역구로 꼽힌다. 영남권은 상대적으로 야권단일화 가능성이 높다는 것도 기대치

를 올리는 이유다.

 

민주당과의 대결을 피하기 어려운 호남에서는 야권연대 성사 여부에 따라 성적이 달라진다.

진보당은 민주당과의 야권연대가 실패한다고 하더라도 김선동 의원(전남 순천)과 광주지역

출마자 1~2인이 살아 돌아올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광주 서구을에 출마하는 오병윤 전 사무총장의 경우 이미 보궐선거에서 민주당과 대등한 대

결을 벌인 바 있고 노무현 정부에서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위원장을 맡았던 이민원 교수가 출

마한 남구도 기대를 높이고 있다. 민주당의 영향력이 전남에 비해 덜한 전북에서도 군산,

전주 완산 등에서 승부를 벌여볼 만하다는 평가다.

 

수도권의 경우 스타급 인사들의 성적에 기대가 높다. 이정희 공동대표가 서울 관악을에, 노

회찬 대변인이 서울 노원병에, 심상정 공동대표가 경기 고양 덕양갑에 출전한다. 여기에 서

울의 강북 지역, 경기의 성남, 수원 등에서도 추가 의석이 나올 것으로 기대된다. 2010년

지방선거에서 2곳의 구청장을 배출한 인천의 경우 야권의 연대 움직임이 순조로운 만큼

1~2석의 당선자가 나올 것으로 보고 있다.

 

통합진보당의 핵심 관계자는 "전국 상황을 종합해보면 총선에서 안정적인 원내 교섭단체 구

성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특히 서울과 경기, 인천 등 수도권의 성적이

중요하다"며 "그러나 역시 관건은 야권연대"라고 지적했다.

 

민중의소리 / 현석훈 기자 radio@vop.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