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작은 공간이지만 테이블도 놓아야 하고, 인테리어도 무시할 수 없다. 샌드위치를 만드는 데 필요한 자재와 식재료도 적지 않다. 당장은 매출이 없으니 영업 이익으로 모든 것을 갖추기는 무리다.
제일 먼저 떠오른 것이 은행 대출이지만 여의치 않다. 경기 불황과 은행의 유동성 문제로 인해 대출을 받는 일이 낙타가 바늘구멍을 통과하는 것만큼 어려울 뿐 아니라 대출 금리도 커다란 부담이다.
창업으로 새로운 꿈을 키우고 싶을 때 필요한 자금을 보다 저렴한 금리로 조달하는 방법은 없을까?
◆ 저금리 창업 자금 여기서
|
소규모 자영업이나 생계형 창업을 계획하고 있다면 소상공인창업지원센터나 중소기업진흥공단 등을 통해 시중은행보다 낮은 금리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다. 여기서 창업 상담 후 자금을 신청하고, 대출을 취급하는 은행이나 재단을 찾아 대출 신청하는 절차를 따르면 된다.
사치 향락적 소비나 투기를 조장하는 업종을 제외한 제조와 건설, 운송, 광업, 도소매 및 각종 서비스 등의 업종에 해당하면 소상공인창업지원센터나 중소기업진흥공단을 통해 최고 5000만원까지 창업 자금을 지원 받을 수 있다. 다만 상시 종업원 수가 업종별로 5인 또는 10인 미만으로 제한돼 있다.
각 기관마다 상ㆍ하반기로 나눠 두 차례에 걸쳐 대출 신청을 받으며, 대출금리는 공공자금관리기금 대출금리에 연동해 연 5~6% 선에서 결정된다. 또 중소기업청장이 정한 교육과정이나 컨설팅과정을 이수할 경우 우선 지원 받을 수 있다.
대출금은 1년 거치 4년간 대출금의 70%를 3개월마다 균등 분할 상환하고, 나머지 30%는 만기 일시 상환해야 한다.
◆ 여성과 장애인을 위한 창업자금 지원은
여성과 장애인이 창업 자금을 지원받을 수 있는 창구가 따로 마련돼 있다. 저소득층의 여성 가장이라면 한국여성경제인협회를 '노크'해 보자. 협회는 생계형 창업을 희망하는 저소득 여성가장에게 1인당 최고 3000만원까지 점포 임대보증금을 융자해 준다.
연 3%의 저금리에 대출금을 지원받을 수 있고, 지원 기간은 2년이며 1회 연장할 수 있다. 이자는 분기별로 납부하고, 대출 원금은 만기 일시 상환 한다.
대출 조건을 만족하려면 가구당 월소득이 4인 기준 189만원 미만이어야 하며, 주점이나 성인오락실, 여관 등 사치 향락업종에 해당할 경우 지원을 받을 수 없다.
대출금 지원을 받으려면 우선 선정위원회의 평가를 받아야 한다. 경영능력과 해당 업종의 근속 연수, 사업계획 및 시장전망, 부양가족 수 등을 기준으로 평가가 이뤄지며 60점 이상의 점수를 받아야 한다. 기초생활보장 수급권자이거나 국가보훈대상, 창업교육 30시간 이상 수료자 등에 대해서는 가산점 5점이 부여된다.
창업 계획을 가진 장애인은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을 통해 최대 5000만원의 자금을 연 3%의 금리로 대출 받을 수 있다. 다만 연령이 만20세 미만이거나 재직근로자인 경우, 그리고 법인 형태의 창업을 희망하는 경우에는 지원 대상에서 제외된다.
이 역시 먼저 창업자금 융자 심사를 거쳐야 한다. 신청서를 제출하면 공단은 사업성과 수익성, 대출 신청자의 전문능력, 그리고 장애 정도를 종합 심사한 후 대출 여부를 결정한다.
전문자격증이나 특허권증, 기능경기대회에서 입상한 확인서, 그리고 소상공인지원센터 등에서 창업상담을 받은 후 확인서를 받아 제출하면 심사에서 가산점을 받을 수 있다.
또 대출금 지원은 시설 및 장비 구입비와 영업장소 매입비, 임차보증금, 원자재나 상품구입비로 제한되며, 이밖에 권리금과 운영자금이 필요한 경우에는 대출을 받을 수 없다.
융자 기간은 7년이며, 2년 거치 후 5년 동안 분할 상환해야 한다. 2년 거치기간 동안 원금에 대한 이자를 납입하고, 이후 5년 동안 원금을 이자와 함께 균등분할상환하는 형태다.
중소기업청에서도 창업을 희망하는 장애인에게 시설자금과 임대보증금, 상품구입비 등의 자금을 1인당 5000만원까지 연 3% 금리로 지원한다. 개업 1년 이내인 장애인 사업주도 대출 신청이 가능하다.
|
◆ 무담보 무보증 마이크로 크레디트
이밖에 마이크로 크레디트도 경제 활동에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창구다. 마이크로 크레디트란 금융기관을 이용할 수 없는 사회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소액 자금을 무보증, 무담보로 대출해 주는 제도다. 관련 기관은 사회연대은행과 신나는조합, 아름다운재단 등이 있다.
사회연대은행은 후원자의 기부금으로 대출 재원을 마련하며, 신청자의 경제적 상태나 창업 의지 및 사업 실현가능성 등을 기준으로 심사한다. 소득 수준이 전국가구 월평균 소득의 60% 이하인 취약계층이 1차적인 지원 대상이며, 심사 후 최고 2000만원까지 대출을 받을 수 있다. 대출 기간은 4년이며, 금리는 연 6%다.
3~5명이 공동으로 창업하는 경우라면 신나는조합을 이용해 보자. 대출 자격은 자산이 3000만원 이하인 도시 거주자이거나 자산 1000만원 이하인 농어촌 거주자 중 월 수입이 150만원 이하인 경우로 제한된다.
한국마이크로크레디트의 신나는조합은 보건복지부 기금을 통해 연2%의 고정금리로 5년 동안 1억원 한도로 대출하거나 민간기금을 이용해 운용자금 3000만원과 점포임대보증금 3000만원을 연 2~4% 금리로 지원한다.
'◐ 행복 만들기~♡ > 알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나라 자동차 이름과 뜻 (0) | 2009.11.29 |
---|---|
인터넷 서핑 속도 UP (0) | 2009.11.28 |
◆신규고용촉진장려금◆ (0) | 2009.11.23 |
웹서핑 할곳 모음 (0) | 2009.11.22 |
대륙별 분류 (0) | 2009.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