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는 건설노조 관련 펀글입니다>
아래 내용과 관련 건설노조 대전지부도 오늘 오전 8시40분경 추운날씨에도 불구하고
대전지부와 옥천,영동,금산지회와 함께 충남 금산에서 차량홍보를 진행했다
- 아래는 관련 사진입니다-
전국건설노동조합은 10일 오후 2시부터 과천정부종합청사 앞에서 ‘2011년 대정부투쟁선포 및 임단협 투쟁승리 간부결의대회’를 열었다. 집회에 참가한 노조간부 500여 명은 “건설노동자들은 체불임금과 유보임금으로 인해 가족의 생계가 고통 받고 있다”며 정부 대책을 촉구, 2011년 200만 건설노동자의 생존권과 노동기본권 쟁취를 위해 정부와 사용자를 상대로 투쟁을 선포했다.
건설노동자들은 다단계 하도급으로 인한 문제뿐만이 아니라 체불임금으로 다중의 고통을 받고 있다. 건설노조에 따르면 대부분의 건설사는 노조의 단체협약안을 거부하고, 임금을 체불하고 있다. 전기원, 타워크레인, 토목건축, 건설기계 노동자들은 현재 2011년 임금단체협상 투쟁과 유보․체불임금 근절 투쟁, 건설기계장비의 수급조절 쟁취 및 어음․체불 근절 투쟁을 전국에서 진행하고 있다.
특히 국토해양부산하의 LH공사, 도로공사 등 공공 건설현장에서 유보임금과 체불이 만연해 실질적인 법과 제도의 개선이 시급하다.
건설노조 관계자는 4대강 사업 현장의 경우 “사용주가 정부로부터 이미 70%의 선수금을 받았다. 하지만 임금 지급이 미뤄지거나 50%로만 선지급 하겠다며 유보․체불을 부추기고 있다.”고 전했다.
4대강 사업으로 인한 문제는 건설기계장비의 수급조절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미 포화상태를 넘은 건설기계장비들은 정부의 4대강 사업 명목으로 확대됐다.
건설노동자들은 ‘4대강 사업 종료 시 무분별하게 확대됐던 건설기계장비들이 건설기계 노동자들의 생존권을 위협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때문에 노조는 7월 31일부로 종료예정인 덤프와 레미콘의 수급조절 연장, 수급조절 대상에서 제외되었던 굴삭기에 대한 추가 수급조절을 대책으로 요구하고 있다.
또, 정부가 특수고용노동자들의 노동자성을 부정하고, 노조를 인정하지 않아 건설노동자들은 더 열악한 노동환경으로 내몰리고 있다. 2010년 2월 고용노동부는 건설노조 집행부 선거를 두고 ‘법 위반 사항이 시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뤄진 노조의 결의는 하자있는 결의’라며 노조대표자 변경에 따라 제출한 노조설립 변경신고 요청을 거부한 바 있다. 법 위반은 '노동자가 아닌 특수고용노동자가 조합원'이라는 것으로, 노동부는 현재까지 노조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집회 참가자들은 “건설노동자의 생존권 쟁취와 임단협 투쟁 승리”를 결의하고 ‘유보임금’, ‘산업재해’, ‘체불임금’등의 구호를 부수는 상징의식을 끝으로 대회를 마무리했다.
한편, 건설노조는 3월말 쟁의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이후 임금단체협상 일정과 6,7월 총력투쟁 일정을 세울 예정이다. 건설노조 관계자에 따르면 7월 수급조절을 앞두고 있어 노사간의 대립은 불가피한 상황이다.
'@@@@ > 노동·시민·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주노동당-진보신당 분당전 원래의 자리를 찾아가길.... (0) | 2011.03.31 |
---|---|
사보노조, 일본 대지진 참사에 모금운동 펼쳐 (0) | 2011.03.24 |
일방적 연봉제 추진에 맞선 현장 투쟁 (0) | 2011.03.18 |
충청남도 친환경급식조례 통과를 촉구합니다 (0) | 2011.03.14 |
국회 환노위 의원 4명 "한진중공업 정리해고 철회" (0) | 2011.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