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업무개선협의회 관련
- 그동안 노동조합은 살인적인 업무강도 분쇄를 위해 사측에 지속적으로 업무개선을 촉구하였고, 실질적으로 업무가 개선될 수 있는 상설기구로써 업무개선협의회 구성을 요구했다. 사측은 현재의 노사관계 교착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업무관련 부분은 노조의 제안을 받아들이겠다고 애드벌룬을 띄웠고, 또다시 8.31. 이사장 면담자리에서 이사장의 지시로 9.1. 업무개선협의회 구성과 관련한 실무협상을 진행했다. 그러나 결과는 사측 간부들의 태도가 전혀 변하지 않았음을 확인한 자리에 불과했다.
- 9.1일 실무협의 자리에서 인력관리실장은 업무개선협의회 구성에 대해 내부반대 때문에 문서작성은 불가함을 밝혔다. 현장의 요구를 수렴한 양 노조 집행부가 노사협력부 실무자에게 문제점을 제시하면 노사협력부와 논의를 하고, 필요하다고 인정되면 협업부서에 전달하겠다는 입장이다. 즉, 현장의 고통을 건의하면 자체적으로 논의하고 필요에 따라(판단은 사측이 함) 현장의 의견을 듣겠다는 것이다. 이것은 지난 1/4분기 중앙노사협의회 석상에서 사측이 제시한 안과 동일한 내용으로, 결국 현업부서 공단 간부들의 업무를 빙자한 패권의식이 얼마나 강고한지를 드러낸 것이다.
- 업무개섭협의회를 구성하는 방법에 대해 노조가 핵심적으로 요구했던 것은, 민원 현장에서 업무를 직접 수행하는 조합원과 현장의 조건은 모른 채 실적지표를 결정하고 보고공문을 시달하는 공단 본부 실장 및 부장들이 직접 마주 앉아서 대안을 모색해야 가시적으로 업무를 줄일 수 있다는 것이며, 이를 위해 중앙노사협의회 합의로 협의회를 제도화하여 현장 조합원의 참여를 확보하자는 것이다. 결국 사측은 임금인상이나 정년차별 해소 등 대외적인 사항은 정부지침을 핑계로, 대내적인 업무관련 사항은 간부들의 저항을 핑계로 아무것도 개선하지 않겠다는 태도이다.
- 정년차별분쇄, 실질임금 인상, 살인적인 업무강도 분쇄, 연봉제 반대 등 현장 조합원의 고통과 요구에 대해서는 아무런 관심조차 없는 사측에게 필요한 것은 오로지 실적지표와 근무평정권이라는 끗발이란 말인가?
2) 실질임금 및 차별임금 해소 관련
- 사측 : 현재 4.1% 임금가이드라인을 바꾸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나 사회보험 징수통합 후 여타조직에 비해 임금이 열악하다는 사실은 보건복지부도 잘 알고 있기에 임금인상요구는 명분이 있다고 본다. 그러나 2011년도에는 어렵다.
3) 연봉제 관련
- 사측 : 본인은 곧 공단을 떠나지만 MB정권하에서 계속 밀어붙일 것이다. 연봉제를 받지 않으면 기재부 기관평가 등 여러가지 불이익이 있을 것이다.
4) 해고자 복직관련
사측은 현 MB정권하에서 복직이 어렵다고 주장. 그러나 올해 인천지하철은 해고자 5명 중 5명 전원 복직, 부산지하철은 해고자 2명중 1명 복직한 사례가 있듯이 사측이 전향적인 태도만 보인다면 복직이 가능한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