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인건강/노인건강

손발이 저리십니까?

해피곰 2009. 1. 10. 00:07

손발이 저리십니까?

김용석 교수(경희대 한방병원)

신경을 많이 쓰거나 힘든 일을 하고 나서 손발이 저리거나 뻣뻣한 느낌을 경험해 본 적이 있습니까?

팔을 베고 낮잠자다가 일어났을 때처럼 저린감이 수시로 손이나 발에 나타나면 혹시 이러다가 중풍이 오는 것은 아닌지, 또는 큰병이 생기는 것은 아닌지 당황할 때가 있지 않습니까?

1. 손발저림증은 어떤 증상이 나타나게 되는가?
손발저림을 연령별로 보면 주로 40-50대 이상에서 많이 나타나지만 최근에는 젊은이들에게도 빈발하고 있습니다.

저리는 부위도 대개 손가락이나 발가락 끝, 손바닥이나 발바닥, 손목이나 발목 아래가 저리다고 느끼지만, 때로는 어딘지 모르게 팔다리 전체가 저린다고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저림증의 양상도 전기가 오듯이 짜릿짜릿하면서 저리다. 시리면서 저리다. 바늘로 찌르듯이 저리다.

차면서 저리다. 자기자신의 피부같지 않으면서 저리다고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2. 손발저림의 원인과 진단법  
손발저림이 나타나면 혹시 중풍이 아닌가 하며 걱정하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물론 중풍의 전조증으로 손발저림증이 나타나기도 하고 그외 말초신경장애, 척수신경장애, 고혈압, 저혈압, 동맥경화, 당뇨병, 자율신경장애 등에 의해서도 나타나므로 원인질환을 정확하게 감별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양도락, 맥진, 혈액검사를 통하여 동맥경화증이나 당뇨병 유무, MRI나 뇌혈류검사로 중풍유무와 적외선체혈측정과 말초신경검사로 혈액순환상태와 말초신경상태를 판단하고 진단하게 됩니다.

3. 손발저림증은 치료되는가?
손발저림증이나 비증은 대개 기혈 순환이 원활하지 못하여 나타나는 증상이므로 기와 혈액순환이 잘되도록 하는 치법을 기본으로 하고 침, 뜸치료, 약물 및 물리치료를 하게 됩니다.

비증은 원인에 따라 한(漢)한 경우에는 따뜻하게 하고 열(熱)한 경우에는 차가하고, 습담어혈(濕痰瘀血)과 같은 유형의 불순물에 의한 경우에는 이를 제거하는 치료대책을 세우고, 병의 급성과 만성, 허와 실을 구분하여 치료르 합니다.

약물치료는 기혈을 소통시키고 따듯하게 적용하는 약을 위주로 치료합니다.

침치료는 손발저림증이 나타나는 부위르 위주로 경락 이론에 의하여 경혈을 선택하여 치료하고, 허약한 경우에는 뜸요법을 병행합니다.   

4. 손발저림을 예방하는 방법과 주의사항은 무엇인가?
  
1) 몸과 팔다리를 따듯하게 합니다.  
   2) 적당한 운동을 하도록 합니다.
   3) 식생활 습관을 교정합니다
   4) 스트레스를 해소하도록 합니다.
   5) 성인병에 대한 검진을 받도록 합니다.

'◐ 노인건강 > 노인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인의 정신관리  (0) 2009.01.10
쑥뜸 요법  (0) 2009.01.10
허혈성심질환  (0) 2009.01.09
뇌졸중  (0) 2009.01.09
치매노인을 대하는 방법  (0) 2009.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