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인건강/노인건강

파킨슨씨병

해피곰 2009. 3. 20. 22:29

파킨슨씨병이란?
  파킨슨씨병은 신경과 질환으로는 매우 흔한 신경계 퇴행성 질환입니다. 증상으로는 행동이 느려지고 손발이 떨리는 진전증과 관절 경직, 그리고 몸의 균형을 잡지 못하는 등의 운동 장애가 나타나며, 이 밖에도 얼굴 표정이 굳어지고 걸음걸이의 보폭이 짧아지며, 우울증이나 대소변 장애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파킨슨씨병은 왜 생기나요?
  파킨슨씨병의 원인은 뇌내 신경전달 물질인 도파민의 부족과 운동신경을 조절하는 뇌핵 및 신경회로에 퇴행성 변화가 와서 본인이 원하지도 않는데 저절로 손발이 떨리거나, 마음대로 몸이 움직여 주지 않는 증세를 보입니다.
파킨슨씨병의 증상은?
  한 쪽 손이 가늘게 떨리어 젓가락질을 할 수 없을 정도의 증세로 시작되고, 몇 년 안에 또 다른 한쪽 손, 입, 혀, 목 등에도 떨림이 나타납니다. 떨림은 움직이고 있을 때보다도 가만히 있을 경우에 두드러져 보입니다. 동작이 둔하고 느려지는 무동증도 나타나게 되고, 걷기가 힘겹게 됩니다. 또 순간적인 몸놀림을 하기 어려운 증상도 나타납니다.

걸을 때에는 허리와 무릎을 구부린 앞으로 구부정한 자세가 되고, 팔을 흔들지 않으며 걸음 폭이 좁고 종종걸음처럼 되며, 넘어지기 쉽게 됩니다. 또 근경직이 나타나서 목소리가 작아지고, 얼굴의 근육이 굳어져서 무표정하게 됩니다. 심한 변비, 일어설 때의 어지러움증(기립성 저혈압), 심한 발한, 부종 따위의 자율신경장애 이외에, 우울상태나 가벼운 치매 상태의 정신장애도 수반됩니다.
파킨슨병은 어떻게 치료하나요?
  치료는 악물요법과 재활요법이 주체가 됩니다.

*약물요법 : 부족한 도파민을 보충하기 위하여 L-도파를 복용합니다. 또 도파민의 기능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는 콜린성 물질의 체내 작용을 막는 항콜린제(아텐)가 쓰이는 수도 있습니다.

*재활요법 : 물리요법사의 지도하에 근육의 신축운동, 유연체조, 밸런스 체조 따위의 재활요법이 정기적으로 이루어지지만, 가정에서도 무릎을 구부리는 동시에 손을 크게 휘두르며 걷는, 사지의 관절을 충분히 움직이는 훈련을 아침 저녁으로 약 15분 정도 매일 계속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생활 가이드
  몸이 뜻대로 움직여지지 않기 때문에, 환자는 언제나 초조감이나 불안감을 느끼고 있습니다. 근경직 때문에 얼굴의 근육이 움직여 지지 않으면 무표정하게 되고, 특히 환자의 기분을 읽어내기가 어렵게 되지만, 환자는 초조감이나 불안감을 느끼고 있다는 것을 충분히 고려해야 합니다.

정신적으로 긴장하면 증상이 악화되므로, 마음을 편하게 갖도록 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 변비가 계속되지만, 고통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에 본인이 모르는 사이에 장폐색을 일으키는 수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적어도 이틀에 한번은 배변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배변이 없을 때에는 치료를 받고 있는 의사에게 이야기 해야 합니다.
이것이 궁금해요 (FAQ)
  Q : 파킨슨씨병을 치료하는 방법으로는 어떤 것이 있나요?

A : 파킨슨씨병에 대한 치료는 약물 치료가 우선입니다. 최근에 외과적 수술 요법에 대한 문의가 많으나 아직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고 효과에 대해 낙관적이지 못하며, 보다 좋은 치료약이 많이 개발되어 현저한 효과를 보는 환자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 노인건강 > 노인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인의 관절질환 한방치료   (0) 2009.03.29
잘 죽는 이야기   (0) 2009.03.29
뇌경색  (0) 2009.03.20
뇌졸중  (0) 2009.03.20
우울증  (0) 2009.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