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복 만들기~♡/농사 체험(텃밭등)

상추의 특성 재배및 종류

해피곰 2009. 8. 27. 15:39

작물특성과 재배환경

 

상추의 학명은 Lactuca Sativa L.로 국화과(Chrysantimum)에 속하는 작물이다. 영명은 Lettuce 이며 중국명은 로 부르고 있다. 상추는 품종이 많이 분화되어 Thompson(1951)은 6개군의 식물학적 품종(botanical varieties)으로 분류하였다(1.3.2 품종분류 : 참조).


1. 원산지 및 재배내력

상추의 어원은 날로 먹을 수 있다 하여 생체가 전화된 것으로 보고 있다. 그 야생종은 유럽 온대, 아프리카북부, 아시아 서부지역 즉 카나리아섬, 알제리아 , 아비시니아, 메소포타미아, 코카서스, 인도북부, 시비레리아에 걸쳐 분포하고 있다. 야생종의 재배기원은 중동지역으로 생각되고 있으며 작물로서의 최초의 기록은 B.C. 4,500년경의 고대 이집트의 고분 벽화에 긴 잎타입의 상추가 그려진 것이 있다. 로마시대에는 이미 주요채소로 재배되고 있었다. 당시의 품종은 불결구계통으로 결구형은 16세기에 처음으로 재배되기 시작되었다고 한다. 중세 이후에 유럽으로 전파되어, 프랑스와 네덜란드에서 품종개량이 되었고, 이 후 미국에서 근대적인 육종이 행하여져 1910년경부터 재배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중국에서는 6세기 이후 페르시아에서 인도 서북부를 거쳐 중국에 전파되었다고 한다 . 우리나라에는 삼국시대(6~7세기)에 이미 상추를 즐겨 재배했다고 하니 중국에 도입된 시기와 비슷한 시기에 우리나라에도 도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가까운 일본은 1863년에 미국으로부터 결구형상추를 도입하였으며 당시의 이용은 요리에 섞어 이용했다고 한다. 국내의 상추는 엽상추(청치마, 청축면, 적축면, 적치마)가 주를 이루어 2003년 현재 6,994㏊에서 190,304톤이 생산되고 있고, 결구상추는 1,297㏊에서 36,537톤이 생산되고 있다. 특징적인 것은 미국과 일본은 Iceburg형인 결구상추가, 유럽은 Butter head형인 결구상추가 주류를 이루는 것에 비해 우리나라는 엽상추가 주를 이루고 있는 것이 특징적이다. 상추는 도시근교인 특히, 하남, 성남일원을 중심으로한 비가림하우스에서 연중 생산되고 있으며, 요즈음 수경재배를 통한 청정채소로 역할을 다하고 있다. 현재 결구상추는 양상추라 부르며 세계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는 샐러드 작물로, 현재의 결구상추 품종들은 16~17세기경 프랑스 네덜란드에서 개량된 품종들이다. 우리나라의 결구상추는 해방이후 미군에 의해 들여온 후 군납용으로 재배하기 시작 하였다. 결구상추는 70% 이상이 여름철 고랭지 지역(평창, 횡성, 태백, 정선 등)에서 생산되고 있으며 겨울시설 하 에서는 경남 의령, 진주, 김해, 전남 광주 일원에서 생산되고 있다.


2. 생리 생태적 특성

 결구상추는 1년생 초본으로 해바라기, 민들레, 과꽃, 치커리, 국화와 같이 국화과에 속하는 작물로 현재 Lactuca Sativa 에 속하는 종류는 약 300여 종에 달하 고 있다. 상추의 염색체수는 2n=18이 대부분이며 약 50여 개의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

 

가. 영양학적 특성

  결구상추는 그 독특한 맛 때문에 샐러드로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잎은 녹색으로 연하고 수분의 함량은 95%정도이며 비타민 A. B. C. E. 및 다량의 철분을 함유 하고 있어 영양가가 매우 풍부하여 생식용으로 적합하며 결구상추의 영양분석자료는 표 1과 같다.

 표 1. 결구형에 따른 상추의 영양분석 (가식부 100g)

결구형 미네랄 (㎎) 비타민 물 (%) 지질 (g)
Ca P Fe Na K A(IU) C(㎎)
결구상추(Crisp head) 20 22 0.5 9 175 330 6 95 0.5
버터헤드형(Butterhead) 35 26 2.0 9 264 970 8 95 0.5
로마인형(Romaine) 68 25 1.4 9 264 1,900 18 94 0.7
엽상추(Leaf) 68 25 1.4 9 264 1,900 18 94 0.7

 

 또한 상추의 쓴맛은 일종의 알카로이드로써 lactucerin, lactucin, lactuci acid 등이 주성분으로 아편(opium)과 같은 성질이 있고 최면, 진통의 효과가 있으며 다량 식용하면 졸음이 온다.


나. 생육특성

 결구상추는 포기무게가 300g~1㎏정도이며 뿌리는 직근으로 땅속 30~40㎝까지 뻗어가며 분포는 10~15㎝깊이로 넓게 뻗는다. 온도와 일장에 의해서 추대 개화하며 지상부는 내한성이 다소 약하지만 지하부는 비교적 강하다. 종자는 휴면성이 있으며 광에 의해 싹이 잘 트는 호광성 종자이며 발아온도는 15~20℃로 비교적 저온에서 발아가 양호하다. 정상적으로 발아하여 결구개시까지는 약 40~50일이 소요되며 그후 결구가 진행되고 50~60일 정도면 수확기에 도달하여 발아에서 수확까지는 품종에 따라 다르나 보통 100일 정도 걸린다. 형태적 변화는 유묘기에는 가늘고 긴 앞자루가 있는 활동잎이 되고 결구 개시기에는 잎폭이 넓어지고 잎자루가 없는 둥근 중심잎이 되어 중심으로부터 포기(구)를 형성한다. 이때 고온이면 추대위험이 있으며 수확기가 고온 장일이면 수확전에 꽃대가 생겨 이상포기가 되고 더 진행되면 추대하여 개화된다.


다. 형태적 특성

(1) 종자

 종자는 긴 타원형으로 편평하며 길이로 7~10개의 선이 나있고 길이는 3~5㎜ , 폭은 0.8~1.5㎜이며 두께는 0.3~0.5㎜정도이다. 천립중은 0.8~1.2g이며 1ℓ의 무게는 440~880g으로 1㎏의 종자는 2.1~2.3ℓ이다. 발아력은 3~4년간 유지되고 발아율은 최소한 85% 이상이어야 상품화 할 수 있다.

(2) 잎

 유묘기의 잎은 요철이나 잎가장자리는 결각이 거의 없고 잎자루가 길며 생육이 진전됨에 따라 잎면의 요철과 결각이 심해지고 잎자루가 짧은 둥근 형태의 잎이 생긴다.

(3) 줄기

 꽃눈이 형성되기까지는 줄기의 굵기는 1~2㎝, 길이는 2~3㎝정도이며 이런 짧은 줄기에 잎이 붙어 있으며 이 상태를 로젯트(Rossette)라고 한다. 한편 꽃눈이 된 후에는 줄기가 길게 자라며 또한 꽃눈이 형성되지 않아도 일조량이 적거나 밀식하여 차광되면 줄기가 자라게 된다.

(4) 뿌리

 결구상추 뿌리의 생장은 전체 지상부 무게의 6%정도이며 아주 가는 섬유질로 이루어져 있고, 건전한 것은 하얗고 지표면에 대부분이 분포되어 있다. 그러나 토양이 산성일 때는 뿌리 끝이 말려 생장이 정지하게 되고 색깔이 갈색으로 변한다. 그러므로 결구상추는 본질적으로는 알칼리성 작물이라 할 수 있다.

(5) 포기

 포기는 다수의 잎이 모여 이루어지며 고온 또는 저온조건이나, 건조하고 질소질을 많이 주면 포기가 불량하여 상품가치가 떨어지게 된다.


라. 생리 생태적 특성

 결구상추의 생육과정을 그림 1에서 보면, 파종 후 30일까지를 유묘기라 하며 그 후 잎의 분화속도가 빨라져 1개월 평균 2일에 1매씩 잎이 분화된다. 이 때를 생장도약기라 하며 결구 개시 이후에는 잎의 무게가 증가한다.

 

 생장도약기중 잎의 분화는 하루 1.5~2.0매가 분화하며 이때 뿌리의 발달도 증가하며, 뿌리의 증가가 가장 많을 때 잎수의 최대 증가량과 일치한다. 잎 무게가 증가하게 되면 포기도 충실히 비대하게 되며 파종후 60일에 포기무게가 최대로 되어 성숙기가 된다.

집필 : 고령지농업연구소 장석우 (전화 : 033-330-7713)


3. 재배환경

가. 온도

 상추는 비교적 서늘한 기후하에서 생장이 잘되는 호냉성 채소로서 내서성은 약하다. 생육적온은 월 평균기온이 15~20℃이며 결구에는 10~16℃가 적합하다. 종자의 발아적온은 15~20℃로서 지나치게 온도가 낮으면(8℃이하) 발아가 지연되고, 30℃이상에서는 발아가 극히 나빠진다. 생육기간 중 온도가 높아지게 되면 추대, 쓴맛의 증가, 생리적 장해 및 여러가지 병이 걸리기 쉽다.

나. 일장

 일반적으로 상추는 장일식물로 구분되고 있으나 꽃눈분화에는 고온조건만이 관여하고 추대에는 고온과 장일조건이 함께 관여한다고 한다. 재배에는 일장조건은 그다지 문제시되지 않으며, 또한 일조량이 다소 적더라도 견딜수 있다.

 

다. 수분

 상추는 발아되는데 충분한 수분을 필요로 하며, 발아 후에도 건조의 해를 받기 쉽다. 따라서 생육기간에는 일정량 이상의 토양수분이 유지되어야 한다. 그러나 과도한 수분은 생육과 결구에 지장을 초래한다. 특히 이른 봄이나 비가 많이 내리는 시기에 결구가 시작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결구가 터지거나 질이 나빠지는 경향을 보이는 것은 대부분이 과습에 의한 피해가 원인이다. 따라서 배수에 각별히 유의할 필요가 있다.

 

라. 토양

 뿌리는 상당히 넓고 깊게 뻗어 옆으로 1m, 깊이 1.2~1.5m까지 퍼진다. 적합한 토양산도는 pH 5.8~6.6정도로 pH 5이하의 산성토나 pH 7이상의 알칼리성 토양에서는 생육이 저하된다. 토질은 별로 가리지 않으나 건조한 사질토나 지하수위가 높은 점질토에서는 생육이 나쁘므로 보수력이 있고 배수가 좋으며 경토가 깊고 유기질이 풍부한 사질양토 내지 점질양토에서 재배하는 것이 좋다.


4. 재배방법

가. 파종

 파종상의 온도는 20℃ 전후가 적당한데 저온에서는 발아가 늦어지고 30℃ 이상의 고온에서는 발아율이 떨어지며, 초기생육에도 지장이 많다. 따라서, 저온시에는 반드시 온상을 설치해서 파종해야 발아가 일정하고 생육상태가 좋아서 우 량묘를 육성할 수 있으며 평균기온이 15℃이상일 때는 냉상을 설치해서 파종한다 . 파종량은 10a당 약 2㎗로서 실면적 10평 정도면 충분하다. 파종이 끝나면 판자로 종자를 약간 누른 후 상토를 아주 가볍게 덮고 판자로 복토 위를 좌우로 이동시켜 복토 두께를 고르게 한 다음 볏짚으로 약간 피복하고 저온기에는 미온수로 관수하고 고온기에는 샘물을 주어서 지온을 낮추어 주면 발아율이 더욱 좋아진다.


나. 가식

 1차가식은 본엽 1.5~2매시 6×3~4㎝로 실시하는데, 저온기에는 1차가식까지가 30~35일 걸리고 고온기에는 15~20일 소요된다. 육묘상이 너무 과습하거나 건조하면 엽고병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다이센M-5를 400배로 희석해서 2~3차례 살포해 주고 주간온도를 너무 높이지 말고 평균 15~20℃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다. 정식

 본엽이 5~7장 전개되었을 때 정식하는데, 터널재배를 할 경우에는 120㎝ 정도의 이랑에 5~6줄을 심으며, 배수가 나쁜 점질토양에서는 이랑을 높게 하여 70㎝ 정도의 이랑에 2줄씩 심는다. 포기 사이는 잎상추가 25㎝, 결구상추는 30㎝가 적당하다. 상추는 실뿌리는 많으나 약한 편이므로 뿌리를 많이 붙여 정성들여 취급하여야 정식 후의 회복이 빠르다.

 

라. 시비

 상추는 생육기간이 짧고 뿌리도 잘 발달되지 않으므로 밑거름 중심으로 충분히 주어야 하는데, 생식을 하는 채소이므로 완숙한 퇴비만을 시용하도록 하고, 특히 인분뇨의 사용은 절대 금하여야 한다. 시비량은 잎상추에 있어서는 10a당 완숙퇴비 2,000㎏과 질소:인산:칼리는 성분량으로 20:10:15㎏ 정도를 표준으로 한다. 점질토양에서는 양토 또는 사질토양에서보다 시비량을 줄이는데, 특히 질소와 칼리성분을 약 절반 정도로 줄여서 시비토록 한다. 추비는 정식 후 15일경 뿌리가 완전히 활착된 후부터 수확전 20일경까지 10a당 3~5㎏의 요소를 2~3회에 걸쳐 시비하고, 수확전 10~15일경부터는 요소를 0.5% 정도로 물에 타서 2~3일 간격으로 약 3회 살포하여 주면 잎의 색깔이 진해지고 상품가치가 높아진다. 결구상추는 잎상추보다 다소 많은 양의 거름을 필요로 하며, 배추나 양배추와 같이 인산질이 부족하면 결구가 잘 되지 않으며, 칼리질이 부족하면 불완전결구가 되므로 질소질비료 외에 인산과 칼리를 반드시 함께 시용하도록 한다.


집필 : 경기도 광주군농업기술센터 목정균 (전화 : 031-760-4778)

 

=====================================================================================================

1. 상추의 분류

 상추의 품종은 다양한 크기와 색으로 존재한다. 상추를 분류함에 있어서 잎의 모양과 크기, 로제트(rosette)정도와 결구성, 잎색은 그렇게 크게 좌우 하지는 않지만 잎의 색, 그리고 줄기형태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최근까지 보통 6가지로 분류하는데 Rodenburg(1960)는 결구(Crisp head)상추, 버터헤드(Butter head)상추, 코스 또는 로메인(Cos or Romaine)상추, 잎(Leaf)상추, 줄기(Stem)상추, 그리고 라틴(Latin)상추로 나누었다. 요즈음은 더 세분할 경우 기름용으로 이용되는 오일시드(Oil-seed)상추를 포함하기도 한다. 어느 것이나 잎은 녹색과 적색이고 부드럽고 비타민 A, B, C, E 및 철을 다량으로 함유하며 영양이 풍부하다. 따라서 생식용으로 적합한 샐러드용과 쌈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외국에서는 위의 6종류가 모두 생산 및 이용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잎상추, 로메인 상추 그리고 결구상추가 주로 재배되고 있고 이들 이외에는 거의 재배되고 있지 않다.

가. 결구상추(Crisphead)

그림 1. 결구상추

결구상추는 크게 아이스버그(Iceburg)와 바타비아(Batavia) 그룹으로 나눈다. 크고 단단하게 결구를 하는 형은 주로 아이스버그(Ice- berg)형을 가리킨다. 이 명칭은 아래에 설명하는 바타비아(Batavia) 그룹에 속하는 아이스버그(Iceberg) 품종과 다르다. 최초의 아이스버그(Iceberg) 형은 그레이트 레이크(Great Lakes) 품종이며 1948년 미국에서 개발되었다(Bohn and Whitaker, 1951). 전형적인 미국 품종으로 크고 무게는 약 1㎏ 정도되며,

외엽은 6~7매 정도된다.이 상추는 먼저 로젯트(rosette) 단계를 거친다. 초기의 잎은 가늘고 길며, 각 연속적인 잎은 잎폭이 증가하게 된다. 약 10~12개의 잎이 컵 모양을 형성하게 되는데, 나중의 잎들이 감싸게 되며, 이 잎들은 안쪽에서부터 계속 자라 커지며, 속이 채워지게 된다. 만일 결구된 것을 수확하지 않는다면, 이것은 종다리가 나와서 추대하게 된다. 잎의 질은 고급의 결구상추(Great Lakes Group)에서부터 그보다 못한 결구상추까지(Salinas Vanguard group) 다양하다. 외엽색은 밝은 초록 혹은 어두운 초록이며, 안쪽 잎들은 거의가 흰색부터 크림색의 노랑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다음의 결구상추의 또 다른 형은 바타비아(Batavia) 상추가 있다. 이런 종류의 결구상추는 유럽에서 유래되어, 대부분이 이에서 발견된다. 영국의 웹스원더풀(Webb’s Wonderful)은 바타비아(Batavia) 형 품종인데, 이것은 미국에서는 조생종 결구상추로 나누기도 하였다. 프랑스에서는 바타비아(Batavia)라는 단어 이름의 한 부분으로 많은 종류의 품종들에 붙치어진다. 이들은 아이스버그(Iceberg) 종류의 결구상추와 결구형태와 재배방법이 비슷하며, 수확기에 모양이 매우 다양하고, 작으며 구가 단단하지 않고, 무게는 약 500g 정도 된다.

나. 버터헤드상추(Butterhead)

그림 2. 버터헤드상추

 보통 살라다나(saladana) 등으로도 불리워지고 있으며 결구는 비교적 부드럽고, 일반적으로 정아는 완전히 포합(抱合)하지 않는다. 엽면은 평골이고, 결각과 주름이 없다, 엽은 담록색이나 녹색이고, 엽육은 얇고 부드럽다. 유럽과 남미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다. 수송성은 없지만, 조생종이기 때문에 도시근교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다. 결구상추(Crisp Head) 형의 재배가 곤란한 시기와 가정원예로도 재배될 수 있다.

 

 이 경우 결구시키지 않고 수확하여 출하되고 있다. 버터헤드(Butterhead) 상추는 유럽에서 시작되어 대부분 이 지역에서 재배하고 있다 유럽에서는 보통 두 종류가 재배되고 있는데, 생육되는 계절과 관계가 있다. 여름에 재배되는 버터헤드상추는 노지에서 자라며, 무게는 약 350g에 달하고 있다. 겨울형보다 추대가 늦으며, 생육속도가 빠르다. 겨울에 재배되는 것은 구가 작고 여름형 보다 결구력이 약하며, 무게는 150~200g에 이른다.  미국에서는 모양과 크기에 따라 두가지로 나눈다. 보스턴(Boston)형은 구가 크고, 밝은 색깔이며, 연한 잎을 가지고 있다. 반면에 빕브(Bibb)형은 작으며, 진한 초록색 잎을 띠고 있다. 모든 버터헤드(Butterhead)상추의 잎들은 비교적 얇고 반들반들하고, 기름기가 있고, 부드러운 결을 가지고 있다. 외엽의 색은 대부분 아이스버그(Iceberg)의 상추보다 엷은 빛을 띠고 있으며 결구엽은 노랑색을 띄고 있다.

다. 코스 또는 로메인 상추(Cos or Romaine)

그림 3. 코스 또는 로메인 상추

코스(Cos) 또는 로메인(Romaine) 혹은 로맨(Roman)으로 알려져 있다. 코스(Cos)상추는 예로부터 지중해 유역에서 재배하고 있으며, 이 이름은 터키에 근접한 동부 지중해에 인접해 있는 코스(Kos)라는 섬에서 유래되었다. 이 지역에서는 현재에도 많은 다양한 품종이 자라고 있으며, 색깔은 노랑에서부터 진한 녹색에까지 넓게 분포하고 있다. 입성이고 잎은 길고, 스푼형의 엽형을 하고 있다. 중륵은 크게 밖으로 나온다. 엽수는 많고, 심부는 결속하여 장형의 반결구상을 이루고, 죽순모양을 이루지만 단단하지는 않다. 잎의 조직은 비교적 거친편이다. 많은 부분이 녹색인데, 반결구형이기 때문이다. 결구내엽은 노랑색이며, 무게는 750g정도 나간다.

라. 잎상추(Leaf)

그림 4. 잎상추

잎 혹은 Cutting 상추품종은 주로 국내에서 재배되고, 그 모양이 다양하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고 있는 형으로 지중해 지방에 원종이 있고 결구는 하지 않는다. 특히 결구상추의 원종이라고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잎상추를 쌈문화의 영향을 받아 크게 청치마, 청축면, 적치마, 적축면 등 4가지로 나뉘어지고 있다. 엽연은 가늘고 오그오글하며, 엽색은 담록색의 것이 많다. 저온을 만나면 안토시아닌이 많아져 짙은 적색이 된다. 엽육은 얇지만 엽수는 많다. 또 추대가 늦은 성질이 있다. 미국에서는 일반가정의 정원에 많이 재배되고 있다.

마. 줄기상추(Stem)

그림 5. 줄기상추

이 상추는 줄기 또는 아스파라거스(Aspa- ragus)상추라고도 불린다. 줄기(Stem) 상추는 이집트와 중동국가들에서 발견되고 있다. 이집트인들의 무덤에서 판단해 보건데, 이것의 기록은 아주 오래된 것이다. 줄기(Stem)상추는 중국에서도 또한 흔하다. 그들은 이 상추를 AD 6세기에 알고 있었는데, 이것으로 미루어 보아 일찍이 중동을 통해 전래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일본에서는 2차대전 후 도입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줄기의 직경은 5~7㎝에 이르고 각종의 조리와 요리에 이용되고 아삭아삭하고 식미가 좋다. 줄기(Stem)상추로는 셀투스(Celtuce)가 대표적인 품종이다.

바. 라틴상추(Latin)

 이것은 글라세(Grasse) 상추라고도 불리워진다. 이것의 기원 역시 유럽이지만 사우스아메리카(South America)와 미국 일부지역에서도 재배되고 있다. 이것의 위로 뻗는 성질과 긴 잎들은 코스(Cos)상추와 닮았지만, 잎의 길이는 코스(Cos)보다 짧다. 잎의 조직은 빕비형 버터헤드(Bibby-type butterhead) 상추와 닮았다.  이것은 부드럽지만 두터우며, 일부 품종들은 질긴 잎을 하고 있다.

사. 오일시드상추(Oil-Seed)

그림 6. 오일시드상추

이 상추는 초기의 생장속도가 빠르고 추대 또한 매우 빠른 상추이다. 이들은 Lactuca serriola로 분류되거나 다른 명칭으로 분류된다. 이들은 상추(Lactuca sativa)의 원시형태 흔적을 가지고 있다. 이 상추는 다른 상추의 씨보다는 50% 가량 큰 씨를 대부분 가지고 있다. 이 씨들은 가정용으로 요리에 기름을 넣는데 이용하였다. 이들은 오늘날에도 사용하고 있지만 아마도 아주 먼 옛날 인간들이 처음으로 이용한 상추 종류일런지도 모른다. 이 상추는 잎이 길고 폭이 좁으며, 추대와 개화도 매우 빠르다. 이 상추는 품종과 재배의 발달에 의해서도 완전히 순화되지 않은 하나의 집단으로 여겨진다.

이상과 같이 상추는 다양한 생태형이 있고, 온도, 일장에 대하여 감응이 다르다. 또 토양에 대한 요구도 넓고 거의 모든 종류의 토질에서 생산되지만 유기질이 많고 토양수분이 많은 토양에서 좋은 품질이 생산된다. 토양반응에 대한 적응성도 커서 pH 5.5~8.0의 범위에 걸쳐 생육한다. 최적의 토양 pH는 6.6~7.2사이에 있다. 토양의 pH가 4.7~5.2인 경우에는 석회에 의한 산도 교정이 필요하다. 동화작용은 광이 강함에 따라 왕성하지만 타작물에 비해 낮고 25klux에서 광포하점에 달한다고 알려져 있다. 광보상점은 1.5~2.0klux로 알려져 있다.

2. 국내재배 상추 품종

가. 결구상추

  결구상추의 종자는 고정종으로 유통되고 있으며 결구상추에서도 가장 소비가 많은 Crisp Head는 다른 결구성채소인 배추와 같이 구의 형상과 품질이 품종선정상의 중요한 기준이 되고 있다. 또한 토양조건과 재배조건에 의해 생육반응이 다르기 때문에 작기 적응성을 함유한 폭넓은 형질검토가 필요하다. 상추의 품종분류의 방법에는 그 품종의 육성과정과 종합적인 생태적 특성에 의해 분류, 구분하는 방법과 추대성과 안토시아닌의 발현 유무 등 특정 형질을 기준으로 분류하는 방법이 있다. 품종의 선정, 이용면에서 생각하면 기간품종을 중심으로 작기, 토양조건 등에 대한 적응성을 중시한 품종구분이 가장 실용성이 높다고 보인다.  분류의 기준이 되는 기간품종은 뉴욕(New York), 임페리얼(Imperial), 그레이트레이크(Great Lake), 엠파이어(Empire), 풀톤(Fulton), 그리고 뱅가드(Vanguard)이다. 그리고 그레이트레이크(Great Lake)는 이것을 7개의 sub type으로 구분되었고, 풀톤(Fulton)은 3개의 타입으로 구분했다. 이들 품종들은 미국에서 중요한 품종이며, 일본에서는 Great Lake계 품종군에 집중되고, 고온기 재배에서는 Fulton으로 대표되는 품종군과 Empire 등이 중요품종으로 위치하고 있다.

(1) 그레이트 레이크스 54(Great Lakes 54)

 과거에 가장 많이 재배되는 품종이었으나 지금은 거의 수입되지 않고 있는 품종으로 잎색이 짙고 내병성과 내한성이 강하여 재배가 용이하며 포기무게가 600~700g으로 저장과 수송에 적합하나 상품성이 균일하지 않은 단점이 있으며 남부지방에서 겨울하우스 터널재배에 적합하다.

(2) 그레이트 레이크스 366 (Great Lakes 366)

 초세가 매우 강하며 외엽이 크고 짙은 녹색이다. 속이 단단하며 포기 무게가 1㎏ 이상이 되므로 포기 사이를 넓힐 필요가 있다. 중만생종으로 생육기간이 길며 평지 또는 고랭지 여름철 노지재배에 적합하다. 과거에 많이 재배되었으나 지금은 거의 재배되고 있지 않다.

(3) 펜레이크 (Penn Lake)

 초세는 중간 정도이며 잎의 색은 약간 엷고 둥근형에 주름이 적고 잎가의 톱니모양도 깊지 않다. 포기무게는 500~600g으로서 둥근 모양으로 균일하고 조생종에 속하며 품질이 우수하다. 내병성과 내한성이 약하고, 고온에서는 무름병 발 생이 많고 추대가 빠르기 때문에 도시근교에서 가을재배(늦여름 파종)가 적합하다 . 과거에 많이 재배되었으나 새로운 품종으로 대체되어 거의 재배되고 있지 않다.

(4) 올림피아 (Olympia)

 초세가 약하고 포기가 적어 밀식이 가능하며 잎의 색은 담록색, 잎 가장자리의 톱니가 뽀족하고 깊다. 포기무게는 300~400g 정도이고 내병성과 내한성은 중간 정도이며 만추대성이기 때문에 여름재배가 가능하여 직파재배에 적합하다. 조생으로 고랭지 여름재배와 일반 경지에서의 여름재배에 의한 10월 수확이 가능하다. 과거에 재배되었으나 현재는 재배되고 있지 않다.

(5) 유레이크(Urake)

 초세가 강하고 잎의 색은 약간 엷고 둥근형에 주름이 적다. 포기무게는 500~800g 내외로 현재 여름철 고랭지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고 있다. 조생으로 정식후 45~50일만에 수확이 가능하며 텍사스그린과 함께 여름철 재배의 주요한 품종이다.

(6) 사크라멘트(Sacramento)

 국내에서 가을, 겨울에 재배가 적합한 품종으로 저온신장성이 우수하여 시스코 계통과 함께 저온기에 재배하기 좋은 품종이다. 중생종으로 구의 크기는 400~600g 내외이다.

(7) 아담

 고령지농업연구소에서 처음으로 육성한 품종으로 봄과 여름작형용이며, 중생종으로 구의 무게는 700~800g으로 중대형 크기이며, 결구 강도가 강하고 매우 치밀하다. 정식후 45~50일만에 수확이 가능하며, 고온기에는 중륵갈변증 등 고온에 의한 병에 주의하여 재배하여야 한다.

 표 1. 결구상추 국내 주요 품종의 특성

품 종 명 숙성 재배형 엽색 엽장
(㎝)
결구엽수
(매)
엽폭
(㎝)
주당중량
(g)
추대
내서
내한
유레이크 중생 봄, 가을
고랭지
농녹 23~26 16~24 29~31 370~730 중강 중강
텍사스그린 중생 봄, 가을
고랭지
농녹 24~25 17~28 26~32 320~580
만추텍사스그린 중생 봄, 가을
고랭지
농녹 23~27 20~28 25~32 480~750 중강 중강
살리나스-88 중생 봄, 가을
고랭지
농녹 27~31 22~28 30~32 530~900
패트리어트 중생 봄, 가을
고랭지
농녹 24~27 17~25 27~32 340~800 중강 중강
아루카디아 중생 봄, 가을
고랭지
26~29 21~30 32~33 450~770 중강 중강
엠페레어 중생 봄, 가을
고랭지
농녹 22~28 20~26 24~33 330~760 중강 중강
사크라멘트 조생 겨울 농녹 30~32 25~40 29~30 580~820
시스코 중생 겨울 농녹 26~30 25~39 29~30 730~760

나. 잎상추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잎상추는 크게 적축면, 적치마, 청축면, 청치마로 구분되며, 현재 200여 품종이 등록되어 유통되고 있다. 기존에 육성된 대부분의 잎상추는 봄, 가을재배에 적합한 품종들이 많으며, 여름재배 품종들은 청치마, 여름청치마, 만추대청치마로 아직은 청치마에 국한된 경우가 많으나, 최근에는 재배법과 품종개량에 의해서 여름철에도 적축면 상추의 재배가 시도되고 있다. 또한 여름철 만추대와 고온기의 비가림하우스에서 적색발현의 안정성을 높이려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으며, 늦가을이나 겨울철 저온기에 신장성이 좋은 품종을 개발 중에 있다. 표 2는 국내 잎상추를 구분하여 여름철 고랭지에서 재배하였을 때의 주요특성을 나타낸 것으로 다른 작형과 재배시기에 참고가 될 것이다.

 표 2. 고랭지 여름철 잎상추 주요 특성 (고령지농업연구소 : 1999, 2001)

구분

선발품종명

엽 색

엽장(㎝)

엽폭(㎝)

추대소요일수

상품수량(㎏/10a)

청축면

하지청축면

녹 색

16.3

13.1

102

3,670

적축면

삼선적축면

진자축면

화홍적축면

적 색

15.3

14.8

61~75

3,760

청치마

청치마

청풍치마

강한청치마

녹 색

18.5

11.3

104~139

3,776

적치마

조선적치마

열풍적치마

적 색

19.2

10.9

62~116

2,935

주) 경종개요 : 파종 5월 1일,  정식 6월 1일,  특성 및 수량조사 7~9월,  재식거리 20×20㎝

3. 국내유통 주요품종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품종들은 표 3에서와 같이 잎상추, 결구상추 및 코스상추 등의 종류가 있으며, 현재 유통시장의 약 70%는 적축면과 적치마 잎상추이며, 그다음이 청치마, 나머지 청축면 맛치마, 결구상추가 그 다음을 차지하고 있다. 상추는 년중생산되고 있으며 작형에 따라 추천품종도 세분되어 권장되고 있다(표 4). 따라서 지역에 맞는 적품종을 선택하여 재배시기에 맞게 재배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표 3. 엽형별 주요 유통 품종

결구형 엽 형 품  종  명
잎 상추 적축면 선풍, 미풍, 명품, 뚝섬적축면, 화홍, 홍화, 진자적축면
적치마 적치마, 강한적치마
맛치마 (자치마) 만풍맛치마, 녹치마, 삼복먹치마, 맛치마, 녹치마
청축면 여름청축면, 하지청축면
청치마 여름청치마, 만추대청치마
쌈  용 오크립(청, 적), 바울레드, 롤로로사
결구 상추 결구형 유레이크, 만추텍사스그린, 텍사스그린, 사크라멘트,  
아비, 겨울아비, 살리나스-88
코스 상추 반결구 시저스그린, 시저스레드

 표 4. 재배작형별 적품종

재배작형

적  품  종

잎 상 추

결구상추

봄 재 배

삼선적축면, 뚝섬적축면, 주홍적축면,

자주적축면, 자홍치마, 미풍포찹,

흑쌈치마, 신기추, 선홍적축면

텍사스그린, 살리나스-88

고랭지재배

여름청치마, 만추대청치마, 여름청축면,

자주적축면, 자홍치마, 선농포찹,

만풍자치마, 여름적치마

유레이크, 만추텍사스그린

가을재배

뚝섬적축면, 자주적축면, 자홍치마,

흑쌈치마, 신기추, 선홍적축면

겨울아비, 사크라멘트

겨울재배

화홍적축면, 권농포찹, 홍쌈,

토종맛적축면, 명풍토종적축면

겨울아비, 시저스

 

참 고 문 헌

농촌진흥청. 1994~1999. 고령지농업시험장. 시험연구보고서.

농촌진흥청. 1989 양채류재배(표준영농교본-48).

農業技術大系(野菜編 2). 1983. 농산어촌문화협회.

APS Press. 1997. Compendium of Lettuce Disease.


집필 :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장석우 (전화 : 033-330-1630)

 ==================================================================================================================

 

결구상추 작형과 재배관리
 
기관 :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성명 : 장석우
 
전화 : 033-330-1630
 
 

1. 재배작형 및 만추대 품종

 결구상추의 재배는 온도조건에 좌우되므로 봄, 가을의 적온기는 도시근교, 여름철에는 고랭지, 겨울에는 남부지역 재배가 바람직하다(표 1).

 표 1. 재배작형 분화

재 배 형

파종기(월.순)

정식기(월.순)

수확기(월)

비   고

봄재배

1. 상

2. 상

2. 하

3. 상

3. 상

4. 하

5

5~6

6

시설내에 파종, 육묘기 보온 중부지역

고랭지재배

5. 상

6. 상

6. 상

7. 상

7

8

비가림 재배, 직파, 육묘

가을재배

7. 중

8. 중

8. 중

9. 상

9

10

초기고온 유의,

생육후기 서리주의

겨울재배

9. 중하

10. 상중

11. 하

11. 상중

2~3

3~4

노지육묘 하우스 정식 남부지역

 

 표 2. 결구상추 파종기별 만추대 선발품종과 특성 (고시 : 1996~1997)

파종기
(월.일)
선발품종 상품수량
(㎏/10a)
1구중
(g)
상품률
(%)
수확소요일
수(일)
추대율(%) 수량지수
(%)
노지 비가림하우스
5. 15 유레이크 1,951 367 97 66 0 7 100
엠페레어 3,643 736 90 67 0 0 210
패트리어트 3,983 805 90 63 0 0 232 
6.15 유레이크 3,508 726 88 72 0 0 100
아루카디아 4,002 753 97 73 0 0 118
브라보 4,324 801 98 70 0 0 129
엠페레어 3,827 764 91 71 0 0 111
패트리어트 4,241 799 97 71 0 0 126 
7. 15 유레이크 2,782 542 93 72 0 3 100
살리나스-88 3,621 898 73 71 0 0 136
아루카디아 3,387 770 80 71 0 0 124

 결구상추를 고랭지 지대에서 여름재배시 재배시기와 품종에 따른 품종반응이 민감한 특성을 나타내는 특성이 있는데 이런점을 감안하여 그 지역에 맞는 적품종을 심어야 안정생산을 바라볼 수 있다(표 2). 지난 1996년과 1997년 2년간에 걸쳐 시험해 본 결과 5월 15일 파종에서의 적품종은 엠페레어 및 패트리어트, 6월 15일 파종에서는 아루카디아, 브라보, 엠페레어, 패트리어트가 7월 15일 파종에서는 살리나스-88과 아루카디아가 생산성에서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었는데 엠페레어와 패트리어트는 봄파종과 여름파종기에서 적응성이 우수했고 후반기 파종기는 저온 구비대력이 좋지 않은 경향을 나태내었다.


2. 재배법

가. 파종

 결구 상추의 파종시기는 육묘기간 겨울철 50~60일, 봄 25~45일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파종량은 재배면적과 재식거리를 감안하여 결정하며 결구상추의 본포 정식거리는 30×30㎝, 겨울재배나 반결구상추는 25×25㎝가 적합하며 10a당 9,000~16,000 포기를 재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재식주수의 1.5배를 파종하면 약 40~60㎖가 소요되며 파종면적은 5~6.5㎡, 이식상 면적은 50~100㎡이 필요하다.


(1) 파종법

  결구상추 종자는 미세하기 때문에 파종상에 6㎝간격으로 골을 얕게 하여 주의깊게 줄뿌림을 하고 얕게 복토하여 짚으로 덮은 후 충분한 관수를 한다. 파종 후 발아온도는 15~20℃를 유지하면 2~3일이면 싹이 트므로 이때 짚을 제거한다 . 또한 플러그트레이를 이용하여 200공에서 25~30일 육묘하면 된다(그림 1).

 

(2) 육묘관리

  ○ 육묘 하우스의 온도 : 15~23℃ 유지관리

  ○ 적정관수 관리

  ○ 발아 1주후 본엽 1매시 솎음질


(3) 이식(플러그 육묘의 경우는 불필요)

  ○ 이식시기는 묘의 본엽이 2~3매시

  ○ 이식상 규모는 90×120㎝의 평상으로 이식거리 9×9㎝

  ○ 묘 크기별로 이식

  ○ 이식후 온도관리 : 20℃ 전후

 

나. 정식 및 관리

(1) 정식준비

 정식 1주일 전에 단근처리하는 한편 석회는 10a당 200㎏과 밑거름을 뿌리고 심경로터리 후 두둑을 형성한다. 이랑폭은 1줄 심기는 45~60㎝, 2줄심기는 90~120㎝, 4줄 심기는 120~150㎝로 한다. 결구상추는 생육중 수분을 많이 요하는 작물로 한발이 심한 포장은 평소 이랑, 배수불량이나 논토양은 두둑을 높게 한다 .


(2) 정식방법

  정식묘는 본엽이 4~5매 정도의 튼튼한 묘가 이상적이며 웃자란 묘나 병든묘는 제외하고 정식 1~2시간 전에 충분히 관수를 한다. 한줄심기는 노지재배나 고온기재배, 고랭지재배에 사용되고 여러 줄 심기는 저온기에 주로 사용한다. 정식시 묘가 깊이 심기지 않도록 유의하고 심은 후 가볍게 눌러주고 즉시 물을 주는 것이 활착률이 높다. 멀칭재배는 저온기 정식에 생육촉진과 잡초방제를 고려하여 흑색멀칭이 좋다. 또한 정식노력절감을 위한 기계정식을 이용하는 경우에 현재 보급되고 있는 채소이식기 PV 101을 이용할 경우 기계정식에 의한 정식시 노력절감효과는 인력정식 대비 94%이상으로 높았으나 기계작업의 숙련도에 따라 차이가 날 수가 있다. 이때의 적정 재식거리는 60×20~25㎝(1조식)으로 하는 것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3. 기계정식에 이용된 두기종의 사양

구 분 ① KTP-3 ② PV 101
구  조
크 기(㎜) 1,270×1,260×1,300 1,860×730×1,150
무 게(㎏) 165 110
엔 진(ps) 3.5 1.3
식부심조절 차륜상하조절방식 유압식 자동추종방식
식부방식        식부호퍼작동식 분리침 강제식부방식
식부조수 1조, 2조 1조
적용육묘 플러그묘(200공) 종이포트묘(100공×2)

 

 표 4. 기계정식 생력화율 (고시 : 1998)

구    분 기계 ① 기계 ② 관행
60×20 ㎝ 60×25 ㎝ 60×30 ㎝ 120×30 ㎝ 60×20 ㎝ 60×25 ㎝ 60×30 ㎝ 120×30㎝
식부시간
(시간/10a)
2.13 2.13 2.13 2.13 1.85 1.85 1.85 -
선회시간
(   ″  )
0.16 0.16 0.16 0.08 0.14 0.14 0.14 -
모 공급시간
(  ″  )
0.34 0.28 0.23 0.23 0.34 0.28 0.23 -
휴식시간
(   ″  )
0.41 0.41 0.41 0.41 0.41 0.41 0.41 -
작업인수
(인)
2 2 2 2 1 1 1 1
총소요시간
(시간/10a)
3.04 2.98 2.93 6.36 2.74 2.68 2.63 -
작업성능
(시간/10a/인)
6.08 5.95 5.86 11.72 2.74 2.68 2.63 38.1
정식노력절감률
(%)
84.0 84.5 84.6 69.2 92.8 93.0 93.1 -

 

(3) 시비

 다비성 작물로 10a당 퇴비 1,500㎏, 질소 8.2㎏, 인산 6.5㎏, 칼리 7.2㎏, 석회 200㎏가 필요하고 잎상추는 10a당 퇴비 1,500㎏, 질소 20㎏, 인산 5.9㎏, 칼리 12.8㎏, 석회 200㎏ 정도가 필요하다(표 5, 6). 그러나 요즈음은 연작으로 토양내 유효성분의 축적으로 표준시비량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

 표 5. 결구형 상추 추천 시비량(10a) - 고랭지 지역

비 료 명 총 량 밑거름 웃  거  름 성 분
1회 2회 3회
퇴  비 1,500㎏ 1,500㎏ - - - N-P-K (㎏/10a)
8.2-6.5-7.2
요  소 17.8 10.8 3 2 2
용 과 린 32.5 32.5 - - -
염화칼리 12.0 7.2 2.8 1 1
시비시기 - 정식14일전 본엽6~7매 본엽10매 결구개시기

 

 표 6. 잎상추 추천 시비량

비 료 명 총 량 밑거름 웃  거  름 성 분
1회 2회 3회
퇴  비 1,500㎏ 1,500㎏ - - - N-P-K (㎏/10a) 20.9-5.9-12.8
요  소 43.4 26.4 6 6 5
용 과 린 29.5 29.5 - - -
염화칼리 21.3 12.8 3.5 3 3
시비시기 - 정식14일전 본엽6~7매 본엽10매 첫수확시

 

 

(4) 관리

 정식후 관리는 하우스내에서는 온도관리, 노지에서는 관수가 중요하며 충분한 관수관리가 결구상추를 부드럽게 하며 쓴맛을 적게 한다.


참 고 문 헌

농촌진흥청. 1994~1999. 시험연구보고서. 고령지농업시험장.

__________. 1989. 양채류재배(표준영농교본-48).

農業技術大系(野菜編 2). 1983. 농산어촌문화협회.

Compendium of Lettuce Disease. 1997. APS Press.


 

 

 

'◐ 행복 만들기~♡ > 농사 체험(텃밭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추 영양결핍과 병균(생리장애)  (0) 2009.08.27
수경재배 (잎상추)   (0) 2009.08.27
근채류 심기  (0) 2009.07.14
과채류 심기  (0) 2009.07.14
작물재배시기(텃밭위주)  (0) 2009.07.14